[학술논문] 제주4·3사건 당시 대중운동과 무장투쟁
...이후 전개된 각 지역별 대중운동, 1948년 ‘2·7투쟁’의 새로운 실상을 정리하여 4·3무장봉기의 발발 배경을 이해하였다. 무장봉기 결정 과정에서 경비대 9연대원 동원과 제주읍내 공격으로써 제주도 일원을 장악하려는 목표가 좌절된 사실 등도 새롭게 밝혔다. 무장봉기 발발과 무력충돌, 평화협상 추진, 5·10선거 거부투쟁, 북한정권 수립 ‘지하선거’에 대한 내용도 재구성했다. 이 글은 4·3 당시 대중운동과 무장투쟁의 표면적인 실상을 드러낸 글로서 앞으로 새로 발굴한 자료와 기존 인용된 자료들과의 대조 분석을 통한 투쟁의 지도부 및 참여자의 구성 및 활동, 당시 사회상에 대한 면밀한 해석적 연구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