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9·19 군사합의, 남측 일방 이행 노력도 긴장관리 효과"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9·19 남북군사합의의 선제 복원 추진 속도를 두고 정부 내 이견이 감지되는 가운데 남측이 먼저 이행 재개에 나서면 긴장 완화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견해가 통일부 주최 토론회에서 제시됐다.
[뉴스] '9·19 군사합의' 복원 본격화하나…접경지 훈련 중단여부 주목
(서울=연합뉴스) 김호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9·19 남북군사합의의 선제적·단계적 복원'을 언급함에 따라 윤석열 정부 때 효력이 정지된 군사합의 복원 절차가 본격화할지 주목된다.
[뉴스] "9·19군사합의 선제복원 신중해야…北호응 가능성 희박"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이재명 정부 출범 후 9·19 남북군사합의의 선제적 복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있지만, 그렇게 하더라도 북한이 이에 호응할 가능성은 희박하니 신중해야 한다는 전문가 지적이 나왔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8일 '이재명 정부 출범과 한반도 평화의 길'을 주제로 국회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뉴스] 검찰, '北 GP 불능화 부실검증 의혹' 대통령기록관 압수수색
2018년 9·19 남북 군사합의에 따라 북한이 파괴한 북한군 최전방 감시초소(GP)에 대한 우리 측의 불능화 검증이 부실하게 진행됐다는 의혹과 관련해 검찰이 강제수사에 나섰다.
[뉴스] 정부, 9·19 합의 효력 정지 결정… 北, '회색지대 전술' 강화하나
정부가 3일 9·19 남북군사합의 효력 정지를 결정했다. 2018년 9월 19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평양정상회담에서 채택한 ‘9월 평양공동선언’의 부속합의서로 탄생한 9·19 합의는 남북 간 우발적 충돌을 방지하고 군사적 적대관계를 종식하고자 만들어졌다. 하지만 북한이 9·19 합의와 그 취지를 거듭 위반하면서 사실상 휴지조각으로 전락한 상태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정부가 효력 정지를 공식 결정하면서 남북관계는 북한 핵·미사일 도발로 군사적 긴장이 최고조에 달했던 2017년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