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두산에서 탄소저장량 비교분석을 통한 UN REDD/AR-CDM 등록대상 소유역 추적
UN-REDD/AR-CDM이 산림파괴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중요한 제도로 국제사회에서 부상되고 있다. 북한의 산림 파괴를 막는 동시에 남한의 탄소배출권 확보라는 측면에서 북한 지역을 UN-REDD/AR-CDM 사업 대상지로 등록하고자 하는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백두산의 산림은 황폐화되어 있는 지역과 거대한 숲의 바다를 이루고 있는 지역이 혼재하고 있어 UN-REDD과 AR-CDM의 등록대상이 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REDD와 AR-CDM의 개별 등록방식에서 탈피하여 소유역별 탄소저장량 변화추세에 의거 UN-REDD와 AR-CDM 등록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소유역별로 AR-CDM/REDD을 동시에 적용할 경우 AR-CDM 단일 방식 보다 21.9%...
[학위논문] 북한지역의 기후변화협약 산림메카니즘 활용방안 연구
...North Korea is 2,461Kha. With the same conditions as the AR CDM for the model simulation, the wood accumulation for 30 years of REDD+ project is 141mn㎥, the CO2 absorption is 299mntCO2e and the emission reduction will be 263mntCO2e, which is 32% of South Korea’s estimated carbon emissions in 2020.
With the same conditions to A/R CDM for the economic analysis, the economic analysis result...
[학위논문] 북한 산림경관 생태적 복원모형 개발
...전역을 9개의 생태지역, 49개의 생태지구, 441개의 생태구역으로 분류하고 황폐화의 정도를 3단계로 평가하여 복원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70년대 남한의 성공적 조림 경험을 북한 전역에 이식하는 것에 관심을 보였다. 속성수와 경제수종 중심의 조림과 사방사업을 병행하여 사면안정 계획을 하고 있다. 학계에서는 북한 산림황폐지에 AR/CDM 혹은 REDD를 적용하려는 연구가 있다. 그러나 남한의 북한에 관한 논의는 황폐지 면적을 단순히 독립변수로 상정하여 전역적이고 정성적인 ‘나무심기’의 개념을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의 산림황폐지 복원에 경관생태학적 방법과 생태복원 원리를 통합하여 산림경관복원 모형을 생태지역 수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