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관광]
...frequently discussed, yet less understood, than North Korea. In the global consciousness, it exists as a caricature of goose-stepping soldiers and nuclear ambitions-the "Hermit Kingdom." This book cuts through the curtain of propaganda and misinformation to assemble a comprehensive and nuanced picture of the world's most isolated state. Drawing on the three pillars of North Korean analysis-the...
[정치/군사]
도서 PDF 받기:_현대북한연구 27권 1호 2024
『현대북한연구』 27권 1호에서는 일반논문 10편을 선정하여 싣는다.
구갑우는 김정은 집권 6년차에 구호처럼 등장했던 우리 국가제일주의가 하나의 이념처럼 체계화, 공식화되는 과정을 ‘계보학적’으로 접근한다.
이무철은 북한의 대남·통일정책 전환의 의미와 특성 등을 북한이 주장하는 ‘우리 국가제일주의’...
[통일/남북관계]
도서 PDF 받기:_현대북한연구 27권 2호(2024)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에서 연 3회 발간하는 『현대북한연구』는 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문화, 역사, 문학, 철학, 과학사 등 인문사회과학을 아우르는 북한 관련 종합 학술지로서 학문 후속 세대를 양성하고 북한 연구를 심화, 발전시키기 위한 목표를 가지고 1998년에 창간되었다.
[통일/남북관계]
도서 PDF 받기:_현대북한연구 27권 3호 2024
현대북한연구 27권 3호에서는 일반논문 5편을 선정하여 싣는다.
장초는 1950년대 후반 북한의 소련 경제원조 수취 경험과 그에 따른 갈등을 분석한다. 북한은 제1차 5개년계획 추진 과정에서 소련의 원조에 덜 의존하면서 점차 내부 축적과 대중운동을 통해 자금을 마련하는 방식으로 전환했다. 북한은 소련 주도의 ‘통합경제’노선이...
[법/인권]
...범죄(민간인 학살, 납치, 포로억류)와 인권 문제를 다루고 있다.
2. 주요 전쟁 범죄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사진과 기사자료를 제시하고 출처를 명시하여 역사적 사실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고자 했다.
3. “육전에서 군대 부상자 및 병자의 상태 개선에 관한 제네바 협약”과 “포로의 대우에 관한 제네바 협약”, “전시 민간인 보호에 관한 제네바 협약” 그리고 “세계 인권 선언”을 부록으로 수록하였다.
4. 한글판과 영문판 합본으로 앞에서부터는 한글로, 뒤에서부터는 영어로 작성한 리버서블 북(reversible book) 형태의 양방향 책으로 인쇄하였다.
[학술논문] 1991년 북한에서 출판한 중역본(中譯本) <춘향전>의 저본의 성격과 번역양상에 대한 고찰
...Pansori (판소리), but showed the musical character of the story different way. Most of the translation was accurate and fluent, but there were still some mis-translations and awkward expressions in this book, and also the translator could not translate the article writing style and the musical character of the adaptation well. Overall, the translator was very good at normal expression of Chinese but laked...
[학술논문] 국어교육의 북한어 이해 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
This study reviews curriculums and textbooks used in education for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language currently implemented in language education of Republic of Korea, or simply South Korea, in preparation of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Presently, in the education for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language, the education for reunification being conducted based on integrated curriculum of low
[학술논문] 한국어 교재에 표현된 사회적 차별 요소: 결혼이민자, 이주노동자, 북한이탈주민 대상의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social discrimination factors occurring in Korean coursebooks that disfavor immigrant workers,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North Korean refugees as minorities in Korea. Therefore we examine what kind of social discrimination factors high placed and how these are presented in both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With regard to verbal forms, we examine discriminatory
[학술논문] 해방기 남북한의 아동담론과 아동문학 텍스트의 상관성 연구
This article is for educational discourse and reality Liberation Period Children gave any impact on children’s literature, children’s literature has sought to internalize salpigo whether this in any way. This contemporary children’s literature is sought to be examined has studied how children approach seotneunga on the actual life and reality On the other hand, Liberation Period peculiarities
[학술논문] 정전과 기억 - 남북한 시선집의 김소월 시 등재 양상을 중심으로 -
이 연구에서는 남북한의 시 문학 정전화 과정의 특이성에 주목함으로써, 그 과정에 개입된 여러 요인들을 해체하여 재구축의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한다. 분단 전후로 남북문단에서, 시인과 작품의 정전화 과정을 통해 각기 다른 민족과 국가 이데올로기를 주입하고 있으나 시인과 작품 자체에 주목하면 그 이데올로기가 절대적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1920년대 시선집이 편찬되면서부터 현재까지 남북한 시선집에 가장 많이 등재된 시인은 김소월이다. 시인으로 등재된 횟수나 등재된 작품 수를 기준으로 볼 때, 김소월은 남북한을 대표하는 시인이라 할 수 있다. 남한시선집에서는 서정주의 작업을 축으로 하여 박두진이 김소월의 시를 추가하며 ‘순수서정시’ 중심의 계보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1980년대 들어서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