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두산에서 탄소저장량 비교분석을 통한 UN REDD/AR-CDM 등록대상 소유역 추적
UN-REDD/AR-CDM이 산림파괴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중요한 제도로 국제사회에서 부상되고 있다. 북한의 산림 파괴를 막는 동시에 남한의 탄소배출권 확보라는 측면에서 북한 지역을 UN-REDD/AR-CDM 사업 대상지로 등록하고자 하는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백두산의 산림은 황폐화되어 있는 지역과 거대한 숲의 바다를 이루고 있는 지역이 혼재하고 있어 UN-REDD과 AR-CDM의 등록대상이 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REDD와 AR-CDM의 개별 등록방식에서 탈피하여 소유역별 탄소저장량 변화추세에 의거 UN-REDD와 AR-CDM 등록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소유역별로 AR-CDM/REDD을 동시에 적용할 경우 AR-CDM 단일 방식 보다 21.9%...
[학술논문] A feasibility study on a natural gas power plant project in the DPRK under the CDM scheme and grid conne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economics of natural gas power generation in North Korea, taking into account the clean development mechanism and grid connection. North Korea has been facing a serious electric power problem and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a new power plant. Natural gas might emerge as a new energy resource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when supply from Russia reaches
[학위논문] 북한지역의 기후변화협약 산림메카니즘 활용방안 연구
...보여주고 있다.
넷째, 북한 A/R CDM 및 REDD+ 프로젝트의 활용방안을 분석하기 위해 각각의 공통변수, 즉 수익부문의 목재 및 배출권 가격, 비용부문의 인건비와 토지임대비용 변수를 선정하여, A/R CDM과 REDD+ 각각 900개 변수조합의 IRR 빈도수 분포를 분석한 결과, A/R CDM의 IRR 평균은 5.39%, 표준편차는 0.0256이고, 평균 기준으로 68.3% 범위 내 IRR이 2.82%∼7.93%이며, REDD+의 IRR 평균은 0.94%, 표준편차는 0.0319, 평균 기준으로 68.3%의 범위 내 IRR은 ()2.26%∼4.13%이었다.
REDD+ 프로젝트는 사회 환경적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A/R CDM 프로젝트에 비해 수익률은 낮지만, 북한 지역주민을...
[학위논문] 북한 산림경관 생태적 복원모형 개발
...전역을 9개의 생태지역, 49개의 생태지구, 441개의 생태구역으로 분류하고 황폐화의 정도를 3단계로 평가하여 복원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70년대 남한의 성공적 조림 경험을 북한 전역에 이식하는 것에 관심을 보였다. 속성수와 경제수종 중심의 조림과 사방사업을 병행하여 사면안정 계획을 하고 있다. 학계에서는 북한 산림황폐지에 AR/CDM 혹은 REDD를 적용하려는 연구가 있다. 그러나 남한의 북한에 관한 논의는 황폐지 면적을 단순히 독립변수로 상정하여 전역적이고 정성적인 ‘나무심기’의 개념을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의 산림황폐지 복원에 경관생태학적 방법과 생태복원 원리를 통합하여 산림경관복원 모형을 생태지역 수준에서...
[학술논문] 기후변화 공동대응 및 탄소중립을 위한 남북 산림환경협력 방안과 법적 과제
...NGO 등과의 협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국제기구 및 NGO와의 대면·비대면 산림환경 지식교류가 병행되어야 한다. 둘째, 대북제재 완화·해제 국면에 대비한 중장기 차원의 대응 방안도 마련되어야 한다.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해외배출권 확보 방안이 추진되어야 한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A/R CDM 사업과 REDD+ 사업이 검토되어야 하고, 남북 간 탄소배출권 거래를 위한 특례 규정 마련과 합의서 체결이 추진되어야 한다. 산림환경을 포함한 남북 인도협력·개발협력에 관한 특별법의 제정도 긍정적인 방향에서 추진될 필요가 있다. 또한 북한이 기후변화에 대응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산림 탄소흡수원의 확충과 증진을 위한 법·제도적 기반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