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 1인 가구의 남한생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 후 남한에 혼자 사는 1인 가구의 특성이 어떠한 지 파악하고 이들에게 적합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눈덩이 표집방법을 사용하여 표집 하였고, 탈북 후 남한에 혼자 사는 1인 가구 중 서울경기의 수도권 4명, 지방 5명 총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에 의하였으며, 면접 조사 및 자료 분석은 교육학 및 심리학 박사 3명에 의한 삼각 검증법으로 진행되었다. 합의도출 결과 5개 범주, 14개 하위영역, 62개 개념이 도출되었다. 탈북 1인 가구는 남한입국 이전의 가족 해체된 경험으로 결혼보다는 남한사회 정착이 우선이었고 재북 가족과의 미해결과제가 남아있으며, 남한입국 후 가족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다. 또한 1인...
[학술논문] 한부모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내 적응 어려움과 대처 방식
...adaptation and coping In South Korea. Ten single-parent families as a result of bereavement, divorce, and separation due to escaping from North Korea were interview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was used and 2 main domains and 12 sub-domains were identified. The two main domains were 'challenges in adaptation' and 'adaptation mechanism'. The challenges in adaptation were in...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부부의 적응과정 분석: CQR과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 부부의 부부관계 적응과 남한사회 적응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북한이탈주민 부부의 적응 과정은 어떠한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질적 연구 방법 중 합의적 질적 연구(CQR)로 개념을 도출하였고,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모형을 통해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자들은 부부 또는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가족을 이루고 살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심층면접과 자료수집과정에서는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규정을 준수하였다. 연구결과로, 81개의 개념과, 43개의 하위영역, 18개의 범주를 도출하였고, 안정을 목적한 탈북과 결혼 – 적응 위한 고군분투 및 가족 인식변화 – 이산가족 인식 –...
[학술논문] 북한이탈여성의 외상후성장에 관한 질적 연구: 중국 체류 시 결혼경험이 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중국 체류 시 결혼경험이 있는 북한이탈여성의 외상경험, 외상후성장 요인, 외상후성장 경험에 대해 질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12명의 북한이탈여성에 대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합의적 질적연구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이하 CQR)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외상경험은 건강문제를 포함하여 11개의 범주로 나타났으며, 외상후성장요인은 내적인 요인(스트레스 대처, 성격, 인지과정 등)과 외적인 요인(타인의 도움과 지지 등)의 10개 범주로 나타났다. 앞서 언급한 요인들로 인해 연구대상자들은 자기에 대한 인식변화, 대인관계의 변화, 정서의 변화, 가치관 변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술논문] 이주배경 청소년에 관한 질적 연구 동향: 국내 및 북미 학술지 게재 논문 분석(2003-2015)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및 북미 이주배경 청소년 관련 질적 연구는 2008년 이후 급속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에서는 중도입국 청소년과 북한이탈 청소년이, 국외에서는 이주배경 청소년 일반이 주요 연구 대상이었다. 셋째, 국내는 사례연구, CQR, 근거이론 접근, 현상학 등 연구 접근법이 비교적 고루 분포된 반면 북미 연구는 CQR과 근거이론 접근에 집중된 경향이 나타났다. 넷째, CQR과 근거이론 접근 비중이 높은 북미 연구는 연구자, 면접자, 평정자의 역할 분리나 외부 감사자의 감수를 통해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보하는 방법을 보다 빈번하게 적용하였다. 다섯째, 국내 연구의 주제는 적응 양상 및 과정에 집중되었고, 북미 연구의 주제는 사회적 관계, 진로와 경력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