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상북도 후포와 강원도 장호에서 정치망으로 채집된 어류 종조성 비교
...roughly where the Tsushima Warm Current and North Korea Cold Current intersect.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Thermal Front, we investigated seasonal variation in fish species composition using set nets in two areas located north (Jangho, Gang-won-do) and south (Hupo, Gyeong-sang-buk-do) of Jukbyun, Gyeong-sang-buk-do, and compared the sea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e collected a total of 38 fish...
[학술논문] 동해 남서부해역에 출현하는 냉수 특성
하계 동해의 남서부해역에 냉수가 왜 그리고 어떠한 해양환경하에 출현하는가를 밝히기 위하여현장조사, 위성자료의 분석 및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해역에서 냉수는 비정상년의 경우는 정상년에 비해 보다 더 연안 가까이에서 출현하였고, 수온도 낮았다. 이것은 냉수가 비정상년에는 정상년에 비해 크게 발달하여 연안역으로 확장함을 의미하였다. 흐름장의 계산결과는 지형류적인 관점에서수온의 관측결과를 잘 재현하였다. 한편, 정상년의 경우는, 북한한류(NKCW)가 쓰시마난류(TC)와 균형을 유지하면서 동해의 북서쪽에 머물고 있었다. 이에 반해, 비정상년의 경우는, 북한한류가 점차남쪽으로 남하하여 동해 서부역의 대부분이 북한한류의 세력하에 놓였다. 그래서, 하계 동해 서부 연안역에서의 냉수 출현은 남쪽으로의 북한한류의 확장에
[학술논문] 동해 연안(울릉분지)의 최근 10년간 해양환경 변화
울릉분지(Ulleung basin)는 동해의 남서부에 위치한 해역으로 한류의 특성을 나타내는 북한한류계수(NKCW: North Korean Cold Water)와 난류의 특성을 나타내는 대마난류계수(Tsushima Current)에 의해 해양환경이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10년간 매년 월별로 정선해양관측한 수온, 염분, 용존산소의 자료를 분석하여 동해 연안에 존재하는 해수 수괴들의 특성과 지구온난화로 인한 수괴별 물리, 화학적 특성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1960년도 부터 2005년 사이 45년 동안 변화되어 온 추이가 지속되고 있는지? 를 고찰하였다. 조사지역으로 유입되는 모든 수괴의 수온이 지난 45년((1960~2005)동안 상승하였으며, 최근 10년 (2006~2015)...
[학위논문] 미국 비확산 정책 : 잃어버린 기회 : 북한사례를 중심으로
...Koreas. But after North Korea declared its withdrawal from NPT, US amended the non-proliferation policy on North Korea. US accepted North Korea's request for rewards which are two 1,000MW light water reactors, supply of heavy oil and the effort to norm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t the cost of closing current and future nuclear development. But the Agreed Framework allows North Korea...
[학위논문] 김대중정부의 대북 화해협력정책 : 성과와 한계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division of politics and economics, the prior settlements of South-North separated families, assistance of food to solve North Korean food shortage, promotion of the hard-water power plant for North Korea without any setbacks and fostering peaceful environment in the Korean peninsula.
Chapter 4 explained about the outcome of the promoted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