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적 민간군사기업 도입방안에 대한 연구
냉전종식 이후, 세계 각국은 선진 국가부터 허약한 국가까지 포괄안보를 구현하고 군사적 공백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민간군사기업을 폭넓게 활용하고 있다. 최근 주요 선진국들은 민간능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정규군(현역군인)의 역량을 전투분야에 집중시키고, 비전투기능에는 민간군사기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아울러, 허약한국가에서도 긴급한 총체적인 위기상황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민간군사기업을 활용하고 있다. 이에 세계 민간군사기업의 연간 시장규모는 700억 유로(약 100조원)로 추정되며 시장규모는 매년 급성장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군은 ‘국방개혁 2030’을 추진하면서 군사력 건설과 운용의 효율성을 달성하기위해 민간군사기업을 도입과 활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한국에서 예상되는
[학술논문] 제3차 북핵 실험과 국제법적 쟁점 검토
...theJoint Declaration on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reaty Banning Nuclear Weapon Test in theAtmosphere, Outer Space and Under Water, Comprehensive Test Ban Treaty(CTBT), Treaty on the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NPT) and UN Security Council sanctions. The latter reviews Interim measures of protection by ICJ to ban Nuclear Test of French (1974) and advisoryopinions of ICJ regarding...
[학술논문] Dealing with North Korea’s Nuclear Ambitions
...weapons program in the first nuclear crisis.This study confirms the hypothesis by using a research concept of critical juncture which method investigates by which factors an event occurs.With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history of the North Korean nuclear development and U.S.responses to the first nuclear crisis,this study examines whether U.S.policy was properly suited with North Korea’s internal...
[학술논문] 침해사고 분석을 통한 기반시설 보호 강화 모델 연구
최근 한수원을 대상으로 한 해킹 협박과 원전자료 공개 사고는 국가․사회 기능유지를 위한 기반시설의 보호 및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켰다. 그러나 이들 기반시설에 대한 사이버보안 활동이나 제도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에 향후 유사한 침해사고는 지속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심지어 심각한 피해를 유발할 우려도 있어 우리 국민들은 불안해하고 있다. 특히 북한이 6개의 해킹조직으로 6,800여명의 해커를 운영하면서 불법자금 획득과 에너지․교통 등 기반시설까지 해킹하여 심리전까지 구사하고 있어 우리의 국가안보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최근 국내외 기반시설에서 발생한 침해사고 사례, 그에 따라 수립된 대책의 이행과정과 현행 기반시설 보호제도의 운영상 미비점을 분석, 평가하여 기반업무 수행체계
[학술논문] 사이버공격 대응 분석을 통한 사이버안보 강화 방안 연구
최근 한수원 원전자료 유출, 미국 소니픽쳐스사 해킹 등 사이버위협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선진국 모두에게 해결해야 할 큰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 정부는 그간 대형사고 발생 시마다 종합대책을 수립하여 시행해오고 있으며 사이버안보 강화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개선 노력으로 과거에 비해 국가․사회 전반의 보안수준이 향상되었으나 여전히미흡하다. 종합대책이 단기 위주로 그 실효성에 한계가 노출되었고 금융사기 등 사이버범죄가 교묘해지고 악성코드와 공격기술은 새로운 기법을 동원하여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북한은 6,800여명의 해킹조직을 운영하면서 기반시설까지 해킹하여 심리전을 구사하고 있어 우리의 사이버안보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09년 이후 주요 사이버공격시 대두된 문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