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사이버전 위협분석과 대응방안 고찰
본 연구에서는 위협이 증가되고 있는 사이버전의 위협과 사이버전에 전장 환경의 위협이 무엇인가에 대해 현재 일어나고 있는 실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주요 선진 국가들이 사이버전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에 대한 현 실상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세계 3위권의 사이버전 수행능력을 구비하고 있는 북한의 사이버전 위협과 북한의 사이버전 전략이 한국의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으며, 현존하는 북한의 사이버전 위협과 미래에 예상되는 북한의 사이버전 위협에 한국이 어떻게 대비하고 대응할 것인가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학위논문] 권위주의 국가의 전장 효율성 이론과 실제 : 북한군을 중심으로
전장 효율성(battlefield effectiveness)은 한 국가의 군대가 특정 전역 및 전투에서 전투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여 군사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역사적으로 모든 권위주의 국가가 비슷한 전장 효율성을 가지지 않으며, 일국의 군대가 발휘하는 전장 효율성도 시대에 따라 변화한다.
본 논문은 권위주의 국가의 전장 효율성을 설명하는 최신 이론인 탈마지의 이론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북한군의 사례를 활용한다. 이를 통해 이론의 논리적인 문제점을 드러냄과 동시에 보다 나은 이론의 개발을 위한 연구 방향을 모색한다.
탈마지의 이론은 권위주의 정권이 자신들이 직면한 위협을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따라서 특정한 형태의 군사조직 관행을 채택하게 되고...
[학술논문] 북한 인공지능 기술의 군사화와 우리 군의 대응 무기체계 발전방향 연구
...affairs. The future weapon system based on AI will have superior performance and destructive power that is different from modern weapons systems, which is likely to change the paradigm of the future battlefield, so a thorough analysis and prediction of the level of AI militarization technology,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and AI-based weapons system in North Korea is needed. In addition, research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