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침해사고 분석을 통한 기반시설 보호 강화 모델 연구
최근 한수원을 대상으로 한 해킹 협박과 원전자료 공개 사고는 국가․사회 기능유지를 위한 기반시설의 보호 및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켰다. 그러나 이들 기반시설에 대한 사이버보안 활동이나 제도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에 향후 유사한 침해사고는 지속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심지어 심각한 피해를 유발할 우려도 있어 우리 국민들은 불안해하고 있다. 특히 북한이 6개의 해킹조직으로 6,800여명의 해커를 운영하면서 불법자금 획득과 에너지․교통 등 기반시설까지 해킹하여 심리전까지 구사하고 있어 우리의 국가안보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최근 국내외 기반시설에서 발생한 침해사고 사례, 그에 따라 수립된 대책의 이행과정과 현행 기반시설 보호제도의 운영상 미비점을 분석, 평가하여 기반업무 수행체계...
[학술논문] 사이버공격 대응 분석을 통한 사이버안보 강화 방안 연구
...유출, 미국 소니픽쳐스사 해킹 등 사이버위협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선진국 모두에게 해결해야 할 큰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 정부는 그간 대형사고 발생 시마다 종합대책을 수립하여 시행해오고 있으며 사이버안보 강화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개선 노력으로 과거에 비해 국가․사회 전반의 보안수준이 향상되었으나 여전히미흡하다. 종합대책이 단기 위주로 그 실효성에 한계가 노출되었고 금융사기 등 사이버범죄가 교묘해지고 악성코드와 공격기술은 새로운 기법을 동원하여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북한은 6,800여명의 해킹조직을 운영하면서 기반시설까지 해킹하여 심리전을 구사하고 있어 우리의 사이버안보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09년 이후 주요 사이버공격시 대두된 문제점 등 사고 사례를...
[학술논문] 사이버 공간에서의 안보의 현황과 전쟁억지력
...국가안보전략(National Security Strategy)과 관련하여 사이버 안보에 대한 위협을 국가안보와 공공안전, 그리고 경제발전에 대한 가장 심각한 도전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미국은 개별 안보분야에 대한 세부전략을 수립했다. 즉, 미국은 9.11테러 이후 사이버안보 범죄를 제재하기 위하여 애국법(Patriot Act), 정보개혁테러예방법(Information Reform and Terror Prevention Act of 2004)과 사이버안보강화법(CSEA)을 각 제정한바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어떻게 사이버 안보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인가? 결론적으로 국가 사이버 안보전략을 통해서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사이버 안보의 개념을 정립하고, 사이버 무력공격과 사이버 테러리즘 그리고 사이버 범죄...
[학술논문] 빅 데이터를 이용한 선제적 사이버전 강화 방안 연구
현재 국가와 사회적으로 국가 기간망에 대한 사이버 공격과 해킹의 급증이 우려되고 북한과 같은 주적이 사이버전을 더욱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는 상태이다. 특히 2010년대 초반부터 최근까지 발생하는 사이버 위협들은 내부자의 위협, 정상적인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한 악성코드 감염 등 국가 기관의 내부망 자체는 언제, 어떤 경로를 통해서든지 다양한 방법으로 침투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최근 사이버 위협에 대한 새로운 개념으로서 가트너 그룹이 정의한 보안 정보(Security Intelligence)분야가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그 기반 기술로 빅 데이터가 사용되고 있다. 보안정보는 APT 공격과 같이 융·복합되거나 잘 알려지지 않은 보안위협을 사전에 미리 예측하고 방어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학술논문] 북한의 사이버공격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order to properly take into account the recent trend of cyber-attacks perpetrated by North Korea, this pap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recent North Korean cyber-attacks as well as the countermeasures and responses of South Korea. Moreover, by making use of case studies of cyber-attack incidents by foreign nations that threaten national security, the response measures at a national level can be deduc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