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MZ 세계평화공원 내 UN 제5사무국 유치에 대한 고찰
...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대북 경제지원 사업과 설득에 의한 관계개선, 둘째, 국제사회에 대한 UN 제5사무국 유치를 위한 외교력 필요, 셋째, DMZ 관련 사업을 종합적으로 통제할 수 있도록 대통령 혹은 국무총리 직속으로 된 컨트롤타워의 설치 등이다. 현재 경기도의 파주, 강원도의 철원, 연천, 고성 등이 DMZ 세계평화공원 유치 경쟁에 나서고 있다. 통일부는 후보지 조사 결과와 추가 연구용역 등을 바탕으로 DMZ 세계평화공원 기본계획을 마련할 예정이지만 남북관계 상황을 고려해 조심스럽게 움직일 전망이다. 남북관계는 지금부터라도 생태적·경제적 이익을 넘어 긴장완화와 신뢰구축으로 남북 간의 위기관리를 해야 할 것이다.
[학위논문] 통일정책의 결정과 추진과정에 관한 연구 : 북방정책과 햇볕정책 분석을 중심으로
...제약으로 등장한 북핵문제 대한 기본입장을 명확할 것, 둘째, 정책결정자의 독선을 방지하고 정책의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초당적 상설정책협의체 건설 등 통일정책 결정의 민주성과 투명성 보장을 위해 제도화를 도모할 것, 셋째, 대북정책조정 및 감독그룹(TCOG) 등 국제적 차원의 정책조율을 위한 협의체제의 기능을 강화하고, 안보적 측면에서도 국가 위기관리 의사결정체제를 정비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통일정책 추진의 효율화는 정책의 엄밀성 확보, 실용주의적 입장에서의 대북접근, 남남갈등의 해소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cessation of the world scale Cold War, democratization of domestic poli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