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C-121기 사건과 한반도에서의 미·소 협력
1969년 4월 15일,한반도 동해에서는 미 해군 정찰기 EC-121기가 북한 전투기에 피격당하는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했다.이 사건은 한반도 냉전사적 측면에서 충분한 연구의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지금까지 심도 깊게 다루어지지않았다.특히 당시 이루어진 미·소 양국의 군사적 협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이점에서 이 연구의 목적은 EC-121기 사건의 실체와 사건발생 직후 나타났던 미·소의 군사적 협력을 확인하는 것이다.그리고 당시 미·소의 협력 경험이이후 양국관계 전개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평가해 보는데 있다. 연구결과 EC-121기 사건은 북한의 사전계획에 의해 일어났으며,이 사건을계기로 미국과 소련 간에는 외교적 경로를 통해 공동구조작전이 성사되었음을확인하였다...
[학위논문] 냉전기 북한의 자주연대 외교 연구 : 북한-베트남-쿠바 연대 외교를 중심으로
...기념일과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의 발발일의 의미를 동치시켰다. 북한과 쿠바는 1937년 6월 보천보 전투와 1953년 7월 몬카다 병영 습격일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 정신과 카스트로의 마에라 시에스트라 정신과 일치시켰다. 이는 이들 국가들 간 공동의 사상과 목적으로 단결되어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1968년 1월 푸에블로호 나포와 1969년 4월 EC-121기 격추 사건으로 인한 ‘제2의 한국전쟁기’에서 베트남과 쿠바는 유일하게 북한을 자주 국가와 사회주의 강국으로 칭송하며 북한의 정당한 자위권 조치임을 강조하며 전폭적으로 지지하였다. 이는 북한에게 체제 내부 강화를 위한 명분과 지원을 제공하였다. 북한은 이 위기를 ‘군사적’이 아니라 ‘정치적’으로...
[학술논문] EC-121기 사건과 미국의 한반도 위기에 대한 대응
EC-121기 사건(1969.4.15.)은 냉전기북‧미 군사대결의 중요한 사례이다. 이 사건은 미국에 대한 북한의 일방적인 군사도발이라기보다는 미국의 공세적 군사활동에 대한 북한의 준비된 군사대응으로 규정할 수 있다. 격추사건으로 고조된 북‧미 대립의 열기는 한 달이 채 가시기 전에 사그라들기 시작했다. 사건 해결에 있어 수세적인 태도를 보였던 닉슨 정부는 미국의 안보정책이 큰 허점으로 비치는 것을 우려했다. 그들은 강력하고, 세밀하고, 적극적인 미국의 행동을 강조하는 한국 비상계획안을 마련하였다. 강력한 ‘한방’을 통해 북한의 추가 도발의지를 꺾는다는 것이 닉슨 정부의 군사적 비상계획의 핵심이었다. EC-121기 격추사건이 잠잠해진 이후 한반도 위기에 대한 미국의 대응 구상은 오히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