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모자보건 현황 및 향후 과제
The Government of North Korea with WHO proposed the improvement of healthcare for mothers and children as the second-highest priority for North Korea in 2009. The maternal mortality ratio in North Korea was 76 per 100,000 live birth in 2012, almost seven times higher than that of South Korea. The leading cause of maternal death was postpartum hemorrhage, which accounted for 33 percent of all mothers’...
[학술논문] 북한 천리마 운동과 보건 의료 인력의 동원, 1956-1961
... industrial workers outside the factory. From 1959, healthcare workers became active participants in the Chollima Movement and Technical Innovation. This movement maximized the availability of healthcare resources that allowed the implementation of a socialized healthcare system in North Korea from 1961.
[학술논문] 붉은 보건 전사 만들기: 북한 보건 의료 부문의 사상 투쟁, 1956-1961
...discusses the ideological struggle between 1956 and 1961 in the North Korean healthcare sector. From late 1956, the ideological struggle triggered by the anti-sectar- ian strife led to a change of policy toward the old intelligentsia. The ideo- logical struggle was call for change that suited the new socialist healthcare system. This paper will explore the process in which the Chollima Workteam Movement...
[학위논문] 남북한 의사 양성체계 비교에 관한 연구 : 북한 출신 의사의 한국 의사면허 취득에 관한 질적 다방법 연구 과정을 중심으로
...measures to improve discrepancies between healthcare systems of South and North Koreas utilization of North Korean refugee healthcare personnels and medical cooperation strategi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Focusing on discrepancies between healthcare personnel training systems of the two Koreas characteristics of the North Korean healthcare system were reviewed and comparisons were performed...
[학위논문] 통일 대비 탈사회주의 체제전환국가의 보편적 건강보장에 관한 법제도 연구 : 23개 국가에 대한 퍼지셋 분석을 중심으로
...못한 국가들에서는 주로 국제기구의 도움을 받아 법제도화는 구축되었으나 중도 폐기되거나 여전히 시행하지 못하고 있는 국가들이 많았다. 또한 보편적 건강보장제도를 시행했다 하더라도 체제전환 전 건강수준, 사회적 불평등과 같은 사회적 요인, 그리고 국민의료비 중 건강보험료가 차지하는 비중 등의 차이로 인해 건강수준 격차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보건의료시스템 유형에 따라 탈사회주의 체제전환국가들이 도입한 보편적 건강보장 법제도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충족유형에 속하는 일부 국가는 NHS 유형을 따라가는 반면 나머지 국가들은 모두 기존 분류체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국민의료비 중 공공재원비중은 낮고 공공병원 비율은 높은 유형을 나타내었는데 그 이유로는 Semashko 체계의 잔재와 더불어 국가별 경제수준과 보건의료체계를...
#보건의료시스템 #보편적 건강보장 법제도 #북한 #비교제도론적 연구 #세마쉬코 체계 #탈사회주의 체제전환국가 #통일 #퍼지셋 질적비교연구 #Comparative institution analysis #Fuzzy-set/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Healthcare system #Legal system on universal health coverage #North Korea #Post-socialist countries #Semashko system #unification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