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사이버전 위협분석과 대응방안 고찰
본 연구에서는 위협이 증가되고 있는 사이버전의 위협과 사이버전에 전장 환경의 위협이 무엇인가에 대해 현재 일어나고 있는 실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주요 선진 국가들이 사이버전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에 대한 현 실상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세계 3위권의 사이버전 수행능력을 구비하고 있는 북한의 사이버전 위협과 북한의 사이버전 전략이 한국의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으며, 현존하는 북한의 사이버전 위협과 미래에 예상되는 북한의 사이버전 위협에 한국이 어떻게 대비하고 대응할 것인가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학위논문] 통일한국의 군사통합과 군사력 건설에 관한 연구
...warfare will be a Digital one and its combatants are going to be Smart Warriors. Changes in war paradigm is inevitable and it will develope into 5-Dimension Warfare based on information warfare. Due to the change in paradigm, future warfare is going to be short, multi-dimensional, and nonlethal and this means it will be smart, state-of-the-art, and elite one.
This kind of warfare paradigms...
[학위논문] 한반도 통일안보전략으로서 제4세대 전쟁이론 연구
...process of unification is a war And the unification process should be dictated by the strategy of the 4th generation warfare Distinction of activities between peacetime and wartime is blurred in the 4th generation warfare in that the 4th generation war utilizes all diplomatic, information, economic and military means available in everyday life rather than direct use of conventional forces to carry out...
[학위논문] 북한 대남공작 유형에 관한 연구
...activity that emerged through the global information technology revolution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North Korea is also rapidly developing methods of South Korean or foreign operations while rapidly accepting information technology. In this study, the types of cyber operations are reclassified into hacking and terrorist operations, psychological warfare, and money takeover.
The recent...
[학술논문] 2014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얻은 교훈과 미 육군의 주요 교리변화
2014년 러시아가 큰 전투 없이 크림반도를 합병한 사건은 정치, 군사적으로 서방에 큰 충격을 주었다. 서방에서는 이때 러시아가 적용한 전쟁방식을 ‘차세대전(New Generation Warfare)’, ‘하이브리드전(Hybrid Warfare)’, ‘인지전(Cognitive Warfare)’, ‘정보전(Informaion Warfare)’ 등 다양한 용어로 부르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였고 지금도 진행 중이다. 우리 군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교훈을 연구하여 미래 전쟁에 대비해야 한다. 그런데 어떻게 실질적이고 객관적인 전훈을 도출할 수 있을까? 신문이나 TV 등의 언론기사, 인터넷이나 SNS에 공개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