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상북도 후포와 강원도 장호에서 정치망으로 채집된 어류 종조성 비교
...japonicus were subdominant at Jangho. Based on Froese and Pauly (2014), subtropical fishes accounted for 55% of fish in Hupo but only for 33% in Jangho. The difference in fish species composition was most obvious in May and August. According to the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sea surface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slightly higher at Hupo than at Jangho. Our findings suggest that...
[학술논문] 북핵 위기 대응을 위한 특단의 방안 필요성에 관한 연구; 북핵 개발에 대한 NPT·IAEA 기능의 한계점을 중심으로
최근 고도화되고 있는 북한의 핵 위협을 극복할 수 있는 특단의 방안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한반도 및 주변 동북아 안보정세에 절대적 위협 요소인 북핵 개발 이슈와 관련하여 NPT와 IAEA의 기능과 역할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근본적인 북핵 위기 대응을 위한 특단의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여전히 북핵 위협과 핵확산 억제력 부재에 직면하고 있는 한반도 위기상황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한국이 주도적 역할의 중심에 있어야 한다. 나아가 장기적이고 선제적인 대응책 모색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정당성에 대한 주변국의 이해와 용인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특단의 방안을 찾고자 분석한 결과, 북핵 개발 행위에 대한 NPT와 IAEA의 실효성 있는 제재조치가 극히 제한적이며 단순한 규범적 결의안 주장만
[학술논문] 한반도에서 재래식 무기의 군비통제 방안 : 운용적 군비통제 방안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한반도의 재래식 무기의 운용적 군비통제 추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국제사회는 냉전종식 이후 군비통제에 대한 관심과 노력;대상과 영역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반면;한반도는 군비통제보다는 군비증강이라는 심각한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어서 이에 대한 진단과 해결방안 모색이 시급하다. 현재 북한은 대한민국을 북한의 주적이라고 공개적 선포와 군비통제에 대한 진정성 부재 그리고 정치적 노선이 극명하게 갈리고 있는 현 상황에서 북한을 믿고 정치적 대화가 가능하겠는가 등의 의구심을 떨칠 수가 없는 실정이다. 더구나 남북한간 위협 인식상의 상호 불균형과 보유 전력과 군사력 운용의 상이성 등의 비대칭성도 단계적·기능적 군비통제 접근방식의 한반도 적용을 어렵게 하는 요인임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나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