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중학교 『국어』의 시 교육 내용과 작품에 대한 고찰
...about poetry; recitation, genre, creative writing. And there are many poems by great poets in the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most of the poems praise North Korea’s founder Kim Il Sung and his son Kim Jong Il and inculcate patriotism in the readers. Both the South and North should accept their differences and try to make cooperative structure for unification of Korea. In poetry education...
[학술논문] 북한가요의 모범이 된 ‘사향가’ 연구: 혁명가요와 타 장르로 확산된 획일화
...ideology. Kim Il-Sung said that music needs to serve politics, and that the principal role of music in its art form is to create songs that empathize with the republican’s emotions. Such remarks by Kim support the prominent connection between music and politics, and had him be called as a musical politician or a political musician. The principles of the music scene, dictated by Kim Il-Sung include...
[학술논문] 북한 체육정책의 변화에 대한 연구
본 연구는 북한체육과 관련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시대 순으로 북한의 체육정책 변화를 기술하였다. 김일성 시대는 1945년부터 1970년대까지로, 정권초기에 마르크스-레닌주의에 기반을 둔 구소련의 체육정책을 받아드렸으나 1950년대 후반부터 ‘주체사상’에 기반을 둔 ‘주체체육’을 중심으로 노동력과 체육의 대중화, 생활화정책을 통해 노동력과 국방력을 강화하였으며, 정권의 중후반부터는 엘리트 체육도 발전시켜 선전에 이용하였다. 김정일시대는 1980년대부터 2011년까지로 ‘주체체육’을 계승 하였으나, 사회주의 국가들의 붕괴와 경제침체로 체육기반은 약화되었으며, 체육정책은 수동적으로 실시되었다. 김정은 시대는 2012년부터 현재까지로
[학술논문] 6․25전쟁 초기 춘천지구 전투의 재분석과 평가
6․25전쟁 초기 방어전투 중 유일하게 성공한 춘천지구 전투를 재분석 하여 전투 성공요인과 의의를 재평가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그동안의 연구결과는 한국군의 입장에서 분석된 사항으로 북한군의 기습남침에 맞서 초기 방어전투의 성공적인 면과 북한군의 단기속결 의도를 좌절시킨 전투로 집중 조명되어졌다. 이번 연구는 북한군 남침 작전계획을 고려하여 김일성의 전략적 방침과 연계하여 춘천지구 전투를 재분석해 보고자 한다. 즉 북한군의 남침계획과 연계하여 적전술의 입장에서 재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춘천지구 전투가 6․25전쟁에 어떠한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김일성의 전략적 방침에 의거한 북한군의 작전계획을 초기전투에서 한국군 제6사단이 분쇄하였다는 점에서 전술적 승리 이상의 의미가 있다. 춘천지구 전투는
[학술논문] 구 조선총독부 경찰관료와 사상범의 ‘식민지 조선’ 회고와 남·북한 인식
...Korea, and korean communist friends having company with during the imprisonment in korea. He always supported and cheered the Kim, Il-sung regime, but he came to know that Kim removed his friends and regime’s break down as a socialism country, he began to criticized Kim’s regime. At the same time, he urge the post war japan society to reflect on colonial rule and responsibility of div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