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Analysis of the Role of Mongolia among the Korea, Mongol, North Korean Sociocultural Relationship
2012년 한국과 몽골은 수교 22주년을 맞이하였다. 이 시점에서 한국과 몽골은 전통적인 국제관계의 틀 안에서의 정치 분야와 기존의 경제 협력분야와는 달리 사회경제 분야에서의 협력과 남북 문화교류에서의 몽골의 역할이 기대되어지고 있다. 바로 이러한 관점으로 본 연구는 한국과 몽골의 녹색에너지 분야에서의 협력과 몽골인들의 한국 이주에 관한 문제 그리고 중간자로서 몽골이 남북한의 사회문화교류에서의 역할을 진단하고 분석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먼저 녹색에너지 분야에 있어서는 2010년 한·몽 전략대화 제1차 회의에 참석하였던 몽골측 대표단이 한국의 경기도 안산 누에섬 풍력 발전소 현장을 견학하고, 몽골의 쏨(우리의 군)마다 필요한 규모라는 실용성을 강조하면서 남한의 자본과 기술, 북한의 노동력
[학위논문] 몽골의 對北政策 : 社會主義 兄弟國家에서配慮外交 對象으로의 轉換過程을 中心으로
...declared principle of non-accepting any attempt at isolating North Korea. The Mongolian interest here plays the role of a stabilizer, which can be interpreted as following: On the outset, this policy stems from the premises that any destabilization or deterioration of security environment in the region resulting from North Korean actions is counter-productive to Mongolia’s own developmental inter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