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지역 기반시설의 군사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도로, 철도, 전력을 중심으로)
...Therefore, the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military use of infrastructure in North Korea by analyzing various data. The facilities such as road, railroad and electricity has been focused in this study. In the future, if the morespecific data regarding condition and problems in each facility are collected, the more detailed military use of theinfrastructure of North Korea can be suggested...
[학위논문] 한반도 항공 전략 연구 : 한국 공군력의 운용과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
... This strategy restrains the enemy from using military power by enhancing air power in peacetime and sustaining an active preparedness.
Secondly; 'Selective Coercion Strategy' is a strategy in times of crisis. This strategy focuses on achieving the objectives by preventing the spread of war through the actual use or threatening to use the air power.
Thirdly; Offensive Paralysis...
[학위논문] 제한적 목적지 이미지의 다차원적 접근 모델 : 북한관광 빅데이터 사례를 중심으로
...인지적·정서적 차원의 구체적 속성을 제시함으로서 제한적 목적지 관광이미지 연구의 척도 및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 도출한 북한관광에 대한 잠재관광객, 즉 내국인이 지각하는 인지적 이미지의 구성차원은 ‘안전’과 관련된 노출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내국인의 제한적 목적지인 북한은 위험 또는 안전에 대한 보장에 대한 욕구가 많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피격사건으로 중단된 금강산관광 등 북한관광의 재개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광객의 안전문제를 보장할 수 있는 남북 간 실효성 있는 제도와 협의가 요구되며, 특히 군사적 도발 등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분석된 인지적 이미지 결과를 고찰함으로써 효과적 정책을 수립하기...
[학위논문] 북한 대남공작 유형에 관한 연구
...대담하게 이루어졌는데, 이는 일정 지역에서 군사적 우위를 과시하고 주민들의 공포 심리를 조성하면서 사회적 안정을 깨뜨리려는 의도가 있었다. 반면, 2000년대부터는 북한 입장에서 정치적 장애로 간주되는 타켓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암살 시도가 있어 왔다. 군사 침투 및 테러·납치 공작이 남한 사회 혹은 주민들에 대한 직접적 혹은 단시간 내 물리적 피해와 심리적 효과를 노린 것이라면, 남한 노동·재야·학원계 침투 공작은 친북 세력의 대중적 기반 확대와 관련이 있다. 반면 해외포섭 및 탈북민 위장공작은 해외라는 위치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공작을 말한다. 즉, 해외포섭 공작은 해외에 있는 한국인들을 포섭하여 공작활동에 활용하는 것이라면, 탈북민 위장공작은 가짜 탈북민을...
[학위논문] 김정은 시대 북한 핵정책 결정과정 연구
...Jong-il era, but Kim Jong-un’s “economic construction and nuclear force parallelism” in 2013 did not directly mention nuclear weapons in policy, nor did he specifically mention the use of nuclear weapons by reflecting them and legislating them. Therefore, I thought it was necessary to discuss North Korea’s nuclear policy, which is actually recognized as a nuclear power, focu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