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냉전 이행기 동유럽의 안보 및 동맹전략의 변환과정과 경로에 관한 연구: 체코와 우크라이나의 사례 비교
...‘지문화적 정체성’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우크라이나에 비해 소련/러시아의 지정학적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체코는 NATO와 EU가입을 선택하기가 우크라이나 보다 용이하였으므로 ‘서구적 경로’를 선택하였다. 우크라이나에는 외교안보전략과 동맹체제 전환문제에 있어서 체코에 비해 지정학적으로 러시아의 영향력이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지문화적으로도 유럽주의적 전통이 주류를 이룬 체코에 비해 우크라이나에서는 유럽적 경향과 러시아적 경향이 혼재되어 있으므로, 정치엘리트와 국민들은 ‘서구적 경로’와 ‘러시아적 경로’사이에서 갈등을 겪고 있다. 체코와 우크라이나의 지정학적이고 지문화적인, 그리고 역사적인 경험은 한반도 통합과정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