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6.25전쟁과 WCC와 한국교회
...그렇지만 WCC의 주류를 이루고 있던 미국의 NCC의 일부의 입장은 미국정부에게 중공을 인정하라고 주장하고 있었다. 그리고 중공의 조자신은 항미원조를 주장하며 WCC 중앙위원회의 한국전 지지 성명을 비판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WCC와 NCC의 일부의 중공을 인정하라는 주장과 조자신의 WCC의 공동위원장으로서의 참여는 강한 반공노선에 서 있던 한국정부와 교회에게 받아들이기 어려운 이념적인 모호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승만과 보수 우파의 정치지도자들과 교회 지도자들은 WCC의 용공 정책을 제기하여 한국교회가 WCC와 단절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당시 한국의 장로교회들은 강한 반공노선을 견지하여 WCC의 이념적인 노선을 따르지 않았고, 미국의 NCC와 WCC에 속한 교단들과의 교류를 통해 전쟁...
[학위논문] 조선그리스도교연맹의 통일 대응 연구 : 1980년 이후 교포교회, NCCK, WCC의 통일 운동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1980년 이후 교포교회, 한국기독교교회협의(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NCCK), 세계교회협회의(World Council of Churches, WCC)의 통일운동에 관한 조선그리스도교연맹(이하 조그련)의 대응을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조그련의 통일 대응과 관련된 자료 분석 및 조그련의 통일 대응의 목적, 원칙, 방법, 통일사상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그리고 조그련의 통일 대응과 북한 정권의 통일정책과의 상관관계를 밝혔다. 조그련의 통일 대응과 북한 정권의 통일정책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그련은 북한 정권 주도하에 설립되었고, 북한 정권의 종교정책을 시행하였다. 둘째, 조그련은
[학술논문] 1988년 ‘민족의 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기독교회 선언’이 한국기독교에 끼친 영향 – 예장 통합측을 중심으로
88선언은 1987년 체제가 들어서고 제6공화국이 88서울올림픽을 계기로 북방정책과 남북교류 협력을 추구하던 시기에 나온다. 이 선언은 1970년대 민주화와 인권 운동을 주도했던 NCCK의 선교방향이 민족자주와 평화통일로 전환했음을 의미하는 선언이었다. 선언의 내용은 분단의 죄악들을 회개, 주한미군과 핵무기 철수 등의 군사적 긴장 완화를 통한 평화체제 구축, 통일을 위한 1995년 희년 선포 등의 담대한 내용들을 담고 있었다. 그러나 선언은 선교를 복음화로, 통일을 북한선교의 관점에서 인식하고 있었던 주류의 한국교회에 커다란 파장을 가져다 준다. 가장 두드러졌던 것은 비정치화와 내세워 국내 및 국제정치의 문제에 관여하지 않았던 보수적 복음주의 교회들이 반응하기 시작했고 연합체인 CCK를 창설한 것이었다. 1990년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