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cientific research trends of North Korea from 1976 to 2024: a Scopus-based bibliometric study
...interinstitutional collaboration within the country. Major international partner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co-author affiliations, with emphasis on China’s leading role. Additionally,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key countries involved i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d to visualize the centrality of cooperative institutions. Conclusion: The findings reveal a marked increase in...
[학술논문]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in Baekdu Mountain Area Using ANN and AHP Method
...soil type, geological type, and land use. The weight value and rating value of each factor were calculated by the two different methods of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n, the weight and rating value was used to obtain the susceptibility maps. Finally, the susceptibility map shows that the very dangerous areas (0.9 or higher) were mainly distributed in the mountainous...
[학술논문] 중국 동북지역 고속도로망 확충의 특징과 국가전략 : 도시간-성(省)간-국가간 사회경제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China. Based on 2003 China's Northeast Project, and 2005 National Highway Network Plan, Northeast China(Liaoning·Jilin·Heilongjian provinces & Inner Mongolian Antonomous Region) has been extended 21 highways planning to complete til 2020. As a result of spatial analysis of ‘point-line-facet network’, it has been carried out the following features of national strategy...
[학술논문] 남북한 통일 관련 이슈에 대한 언어네트워크 분석: 통일연구원 통일정책연구를 중심으로
현재 남․북한의 통일문제와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통일연구원에서 발간한 통일정책연구에 발표된 학술논문의 연구경향을 분석하기 위해 언어네트워크방법론(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통적으로 빈도가 높은 주제어는 “북한”, “중국”, “통일”, “전망”, “정책”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1990년대 초반부터 중반까지 “남북한”, “관계개선”이라는 주제어가 빈번하게 등장하였다. 그러다가 1990년대 중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통일”...
[학술논문]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북한 관련 위협인식 요인 예측
본 연구는 국내의 온라인 뉴스 사이트, 블로그, 카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게시판 등 인터넷을 통해 수집된 소셜 빅데이터를 네트워크 분석과 데이터마이닝의 의사결정나무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북한 관련 위협인식 요인에 대한 예측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네트워크분석(network analysis)과 감성분석(opinion mining)에서 북한관련 감정은 위협, 찬양, 합의 3개의 분류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관련 정책의 위협에 가장 영향력이 높은 경우는 ‘종북요인’이 낮고‘보수요인’이 높고 ‘진보요인’ 높은 조합으로 나타났다. 북한관련 국가안보의 위협에 가장 영향력이 높은 경우는 ‘NLL요인’이 높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