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나선시 도시개발과 남산 18호동 살림집을 통해 본북・중 합작개발의 특성
...18ho-dong shows how key actors attempted a new joint development model such as financing, site selection, residential design, construction, and marketing. It is concluded that the local government in Rason-si serves as an economic interest group and the actors of urban development are diversifying. China’s impact on the North Korean cities is expected to increase, and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학술논문] 이용자 활용 사진 촬영(VEP)을 활용한 북한산국립공원 자연경관 인식 분석
본 연구는 탐방객이 실제 체험하는 경관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이용자 활용 사진 촬영(VEP) 방법을 활용하였다. 자료를 바탕으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text network analysis)을 통해 인식의 유형을 공간 구성(spatial configuration) 범주와 내용 기반(content based) 범주로 분류하였다. 공간 구성 범주에는 시각적 측면에서 조화로운 경관을 가장 선호하고, 거대한 산봉우리나 세부적인 자연 요소와 무늬 등 독특한경관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한편 내용 기반 범주에는 시각을 비롯한 청각, 촉각에 의해 역동적으로변화하는 계곡, 연못 등의 수경관을 선호하고 가을을 느낄 수 있는 계절감, 날씨의 변화로 나타나는 안개의 신비감 등 한시적 또는 일시적인 현상에
[학위논문] 북한 핵무기와 미사일 전략에 관한 연구
...deterrent of a war. Furthermore, it'll use them as a means of the communized unification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North Korea has denied the nuclear development during the on-site inspection of IAEA, but the restricted inspection of IAEA has nearly confirmed its nuclear development. When IAEA required a special inspection for the concrete evidence, North Korea refused it seceding...
[학위논문] 북한의 기술혁신운동과 현장 중심의 과학기술 정책 : 천리마 작업반 운동과 북한 과학원의 현지 연구사업을 중심으로
.
#북한 과학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원 #현지연구사업 #천리마운동 #천리마작업반운동 #기술혁신운동 #과학기술정책 #대안의 사업체계 #North Kore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e Academy of Sciences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e Chollima Movement #The Chollima Workteam Movement #The On-Site Research Program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Movement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olicy #The Taean Work System
[학위논문] 중조 국경도시 단동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Korea policy of South Korea) and the reunification of Korea, and gukim and national identity.
For this, it is necessary for Dandong studies to reconceptualize the border from a 'research site' to a 'research object.' The case of Dandong suggests that the existing concept of border with a dichotomy of border strengthening and weakening will no longer suffice in any border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