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교육과 PBL 교수 설계
...통일교육의 성격상 학교 현장에서 그 방향과 내용 측면에서의 획기적 변화를 시도하기는 어려우며, 단지 방법 측면에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시도해보는 기회가 열려있을 뿐이다. 즉, 학교교육은 통일교육의 방향과 내용과 관련하여 교육부 및 통일부의 확고한 지침에 따를 수 밖에 없지만, 그 방법에 있어서 만큼은 다양한 실험과 시도를 해 볼 여지가 충분하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교수학습 혹은 수업 방법의 하나로서 크게 주목받고 있는 PBL(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하여 통일교육의 수업의 질을 개선시켜 북한 및 통일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높여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학교 도덕과 통일교육을 대상으로 PBL을 활용하여 수업 설계를 하고, 이를 해당 단원에 적용시켜 봄으로써 그 적용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학술논문] 대학에서의 통일교육 수업을 위한 PBL 기반 교수-학습 모형 개발
...갈수록 저하되는 실정이다. 수 년간 정부 및 기관들에서 행한 ‘대학생통일의식조사’의 결과를 분석하면, 대학통일교육과 관련하여 많은 대학생들이 통일교육의 효과나 성과에 대해 부정적견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특히대학통일교육에 관한 교육내용 차원의 문제보다는 교육방법의 문제에 초점을 두고서 그 접근 방법을 개선시켜 궁극적으로 대학통일교육의 성과를 높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통적 수업 방법에 비해 훨씬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정받아 온 문제중심학습(PBL)을 활용하고자 한다. 그리하여대학에서의 통일교육에 PBL을 접목하여 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그 결과 대학생들의 통일 관심도와 통일의식의 성취수준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학술논문] 리빙랩 수업 적용에 따른 대학생 문제해결역량과 세계시민의식 차이 분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리빙랩 활동을 경험한 학생들의 문제해결역량과 세계시민의식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수업 시간에 리빙랩 활동을 하는 것이 문제해결역량과 세계시민의식 증진에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리빙랩 수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첫째, 리빙랩의 교육 효과성을 보다 분석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다양한 리빙랩 수업 사례로부터 교육적 효과를 측정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리빙랩 수업이 기존의 문제중심학습(PBL)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같은 노력이 이뤄진다면 향후 리빙랩 수업이 보다 확대되고 교수법에 새로운 방향성을 설정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학위논문] 체제전환을 대비한 북한 인적자원 재교육 전략 : ICT 혁신대학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은 Expert choice 11을 사용하여 우선순위 결과를 도출하였다.
ICT 혁신대학 모형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위 우선순위로는 1순위 교수학습법 측면, 2순위 기술적 측면, 3순위 제도적 측면, 4순위 기초교양과목 측면이었다. 하위 세부 우선순위는 ① 문제 해결 중심의 PBL(Project Based Learning) ② 토론 중심의 교수법 ③ Big Data 인프라 구축 ④ AI(인공지능) 교과목 ⑤ 기업-정부-대학 연계 프로그램 ⑥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다양한 척도 ⑦ 대학의 교육과정 자율화 ⑧ 플립러닝(Online + Offline) 수업 ⑨ 인문·사회·디자인 융합교육 과목 ⑩ 능력 중심의 새로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