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격동의 동아시아: 박근혜 정부 대외정책의 과제
...Administration’s foreign relations. The PRC-Japan relation is under stress due to disputes over the Senkaku Islands and colliding nationalisms, which is caused by rivalry in Northeast Asia. Southeast Asia is also far from stable as a result of disputes over the Spratly Islands, Scarborough Shoal, and SLOC security. Given America’s re-balancing strategy in East Asia and Chinese power’s emerging...
[학술논문] 중국의 군사력 증강 평가와 우리의 대응방향
이 글은 급속히 증강되고 있는 중국의 군사력을 평가하고 우리의 대응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은 미국의 “전략적 재균형(strategic rebalance)”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가? 중국의 국방정책과 군 현대화 방향은 무엇인가? 구체적으로 중국의 각 군은 현대화를 어떻게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가? 중국의 군사력 증강에 따라 나타나는 각 쟁점별로 한국의 정책방향은 무엇인가? 이것이 이 글이 다루는 주요 항목이 된다. 전작권 전환 이후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이 한중간의 주요한 쟁점이 될 수 있다. 중국은 미국이 ‘전략적 재균형’을 추구하면서 한반도에 주둔하는 미군이 자국의 안보이익을 침해한다고 주장하며 한국정부에 주한미군
[학위논문] 북·중 관계의 변화와 지속성에 관한 연구
...Chinas policy adjustment towards DPRK control the durability of the relations of the two countries.
The Cold-War ended in the international sphere, however, there are still dangerous conditions in teh area of the North-Est Asia. Sino-ROK relationship still showed much limitation even though China has already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ROK for the reason of US-ROK alliance.
[학술논문] Strategic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the U.S.-ROK Alliance: China, North Korea, and U.S.-ROK-Japan Trilateral Cooperation
...especially the ROK, United States and China, cooperation between Washington and Beijing on the Korean Peninsula remains a distant proposition given the sheer number of other pressing challenges weighing the U.S.-China bilateral relationship, in addition to Pyongyang’s inward turn and its apparent lack of interest in returning the negotiating table thus far. ROK-Japan relations remain significa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