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산 산악철도 개발의 경제성 분석 연구
우리나라는 국토의 약 2/3이상이 산악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악지역의 자연공원을 관광 자원화 하여 수혜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정책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여건을 감안하고 국토의 균형발전과 철도 인프라구축 정책원칙 우선 적용을 위한 일환으로 산악지역 중 가장 실효성과 경제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북한산에 대해 산악관광열차로서의 도입시 이용자 지불의사 수준에 관한 대안을 적용하여 산악철도에 대한 경제성 변화를 연구 하였다. 분석결과 LIM(선형유도모터) 과 랙&피니언 시스템의 편익비용비가 각각 0.73, 0.8로 나타났으며, 랙&피니언방식이 적용가능 한 대안으로, 향후 새로운 신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노선내 터널을 일부시공 한다면 선형유도모터방식도 가능한 대안으로
[학술논문] 남북한 산림협력 방향과 과제: 국제사회 지원 사업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남북협력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제사회의 북한 산림 복구 지원 사업을 바탕으로 향후 남북산림협력 방향을 제시하였다. 김정은 정권 이후 북한 내 산림관련 정책들이 새롭게 제시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유럽연합의 지속가능한 조림사업의 성과를 분석하여, 향후 남북산림협력 진행 방향을 제시하였다. 정부차원의 대규모 사업과 함께 국제사회를 포함한 민간차원의 소규모 사업이 동시에 진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으며, 이에 따른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능력배양을 위한 산림교육 지원을 포함하여 국제적인 이슈와 연계한 지속가능한발전목표 달성을 위한 산림협력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현재 준비 중인 남북산림협력 추진 시 북한 산림복구 지원을 위한 단계별 접근 전략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학술논문]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한 북한 6차 핵실험 이후 지표변화 관측
2017년 9월 3일 북한에서 발생한 인공지진 신호가 기상청 지진관측망에 관측되었다. 진앙은 풍계리 핵실험 지역으로 지금까지의 실험 중 가장 강력한 실험이었다. 직접적 접근이 제한되는 상황에서 6차 핵실험에 의한 주변 지표변화 연구를 위해 고해상도 위성 자료를 활용하였다. 우선, 지표변위 관측을 위해 ALOS-2 위성 자료를 활용하여 레이더 간섭기법(InSAR: SAR Interferometry)을 적용하였다. 하지만 6차 핵실험 주변 지역의 대규모 지표변위와 강한 진동으로 인해 낮은 긴밀도(coherence) 값을 지니며 레이더 간섭도가 생성되지 않았다. 이는 강한 진동으로 인한 표면의 변화와 레이더 간섭도가 생성 가능한 최대 지표변위 관측 범위보다 큰 변위가 발생했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