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탐지를 위한 해상 센서플랫폼의 배치에 관한 연구
본 논문은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 탐지를 위한 해상 센서플랫폼의 배치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북한은 SLBM의 수중 사출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는 국제사회에 심각한 안보 위협이 되고 있다. 이러한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기동이 가능한 해상 센서플랫폼은 SLBM의 탐지 가능성이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전형적인 레이더 센서체계의 최대탐지거리 특성은 표적의 비행궤적과 레이더 반사 단면적(RCS)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SLBM의 전술적 특성에 따른 비행궤적을 분석하고, RCS를 계산하였다. 또한 센서 플랫폼의 위치에 따른 탐지 시간을 분석하여 효과적으로 SLBM을 탐지할 수 있는 해상 센서 플랫폼의 위치를 제시하였다.
[학술논문] 레이더 위치에 따른 탄도미사일의 RCS 특성
탄도미사일은 속도가 빠르고 발사지점에서 목표지점까지 비행시간이 짧아 탐지/추적 및 요격에 많은 제한이 있다. 탄도미사일의 요격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발사 이후 조기에 발견하여 비행 항적을 오랫동안 추적하는 것이 중요하다. 레이더로 표적을 탐지할 때 중요한 파라미터는 표적의 Radar Cross Section(RCS) 인데, 탄도미사일이 비행하는 궤적 동안 관측 방향에 따라 RCS 값이 크게 변화한다. 본 논문에서는 북한 동해안에서 우리나라로탄도미사일이 발사되었을 경우를 가정하여 육상 특정 지점에서와 동해상 특정 해역에 전개한 함정에서 각각 미사일을 관측하였을 때 미사일의 RCS 특성을 비교 분석 하였다.
[학술논문] 탄도미사일 탐지확률 향상을 위한 레이더 배치 방안
...까지 다양한 탄도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다. 단거리 탄도미사일의 위협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우리나라는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미사일방어체계를 구축 중이며, 레이더는 표적을 탐지하기 위한 핵심 장비이다. 표적으로부터 레이더로 수신되는 전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레이더의 송신전력, 안테나 이득, 운용 주파수, 표적의 RCS(Radar Cross Section), 표적과의 거리 등이 있으며, 특히 표적의 RCS와 레이더-표적 간 거리는 레이더 고유의 성능이 아닌 외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요소이다. 따라서 레이더의 표적 탐지율 향상을 위해서는 표적의 RCS가 크게 관측되는 위치와 표적까지의 거리를 함께 고려하여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SCUD-B 탄도미사일을 기준으로 RCS 패턴을 분석하고, 미사일...
[학술논문] 적 무인기 침투 비행경로 예측 모형
과거 북한은 수차례 무인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를 이용한 도발을 해왔으며, 최근까지도 신형 무인기의 비행능력을 공개하는 등 무인기에 의한 위협은 지속 증대하고 있다. 북한이 운용중인 소형무인기는 레이다 반사 면적(Radar Cross Section, RCS)값이 작아 탐지가 어려우며, 대응을 위해서는 아측 자산의 효율적 배치 및 운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적 무인기의 입장에서 아측의 주요 시설 및 장애물을 회피하여 침투하는 경로를 예측하고, 향후 도발시 신속한 탐지/대응이 가능하도록 배치방안을 제시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마코프 의사결정 프로세스(Markov Decision Process, MDP) 를 활용하여 무인기의 비행특성과 지역환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