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ODIS NDVI와 강수량 자료를 이용한 북한의 벼 수량 추정 연구
식량수급을 이해하기 위한 농업 현황 정보가 부족한 북한을 대상으로 위성영상과 기후자료를 이용하여 객관적이고 재현 가능한 벼 수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2002년부터 2014년까지의 MODIS 위성 식생지수 평균 NDVI 최대값과 27개 관측지점의 9월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북한의 벼 수량 값을 추정하였다. 모형의 결정계수는 0.44, RMSE는 0.27 ton/ha로 다소 크게 나타났고, 분산분석결과 F비가 3.0983, 유의확률이 0.1008을 보였다. 벼논 지역의 MODIS 평균 NDVI 최대값과 등숙기의 기후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북한의 벼 수량은 2007년이 2.71 ton/ha로 가장 낮게, 2006년이 3.54 ton/ha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통계 값과
[학술논문] 최근 10년(2007~2016년) 북한의 기상기후 연구 동향 - 기상과 수문지를 중심으로 -
...short-term (6 hours) rainfall forecast which using ensemble Kalman filter data assimilation method (4D EnKF) was developed. In addition, development of automatic weather system and improvement of the data transfer system were promoted. However, the result reveals that the automated real-time data transfer system was not fully equipped yet.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a basic data for meteorological...
[학술논문] RCP8.5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이용한 기후변화가 북한의 재해위험에 미치는 영향 평가
...Korea, we collected the climate data of each station in North Korea provided by WMO and expanded the lack of time series data. Using the RCP climate change scenario, And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disasters using local vulnerability to disasters in the event of a disaster. In order to evaluate this, the 11 cities in North Korea were evaluated for Design Rainfall Load, human risk index (HRI), and...
[학술논문] 북한의 수력발전가능량 산정 및 평가에 대한 연구
...through the hydropower generation. For calculating potential hydropower, monthly average and annual average of rainfall for each river basin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data of 27 rainfall stations in North Korea. A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of theoretical potential hydropower by rainfall in the seven major basins in North Korea, the Aprok River basin was analyzed to be the largest with 7,562.2×103k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