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tigma of Mental Illnesses as Perceived by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South Korea
...Perceived stigma associated with attempted suicide was similar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South Koreans. Only marital status in sociodemographic variables had associations with higher perceived stigma of psychosis, alcoholism, and depression in the North Korean defectors. North Korean defectors, who spent more than one year in transit country, had associations with lower perceived stigma of psychosis...
[학술논문] 탈북여성들에 대한 남한 사회의 ‘종족화된 낙인(ethnicized stigma)’과 탈북여성들의 공동체 형성 및 활동
본 연구는 남한 사회에서 탈북여성들이 경험하는 차별과 낙인을 역사적 배경과 연관된 ‘종족화된 낙인(ethnicized stigma)’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탈북여성 8명, 전문가 4명(2명은 탈북여성)을 심층 면접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언어와 의사표현 등 소통의 어려움과 내국인으로의 불인정을 경험하였으며, 이로 인해 종족 정체성(ethnic identity)의 혼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원인으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선(先)경험과 잘못된 정보의 일반화, 오랜 분단의 역사와 공간적 거리감에서 초래된 종족성(ethnicity)의 부인 등이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북여성들은 부정적 인식과...
[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배제' 연구 : 소수자의 관점에서
... a concept formulated by P. Bourdieu. This reality is the internal factor that enforces North Korean defectors to live as minorities. At the social level, the antagonistic ideology and the social stigma against North Korea produce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 against North Korean defectors. This mechanism of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 in South Korean society is the exogenous factor that causes...
[학술논문] 북한의 낙인관리(stigma management) 전략: 김정은-트럼프 시기(2017~2020)를 중심으로
북한과 미국 사이의 갈등은 양자 간에 존재하는 규범적 인식의 불일치 상태로 규정할 수 있다. 미국은 자유주의적 국제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노력해왔고, 이 과정에서 북한 등의 국가를 반규범적 국가로 간주해 불량국가로 낙인찍었다. 미국에게 낙인은 국제질서를 유지하는 하나의 도구였다. 그러나 북한에게는 낙인이 다른 국가와 대등한 행위자로서 국제사회에 참여하는 데 어려움을 주는 상징적·실질적 제약으로 작용하면서, 자신의 ‘물질적 안보’와 ‘존재론적 안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북한은 낙인의 부정적 효과에 대한 대응이라고 하는 대외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 연구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북미관계의 규범적 정치동학을 낙인과
[학술논문] 탈북 여성들의 초국적 이동과 유연한 시민권의 명암: 서구 국가에서 난민 경험을 하고 남한에 재입국한 사례들을 중심으로
...suffered economic difficulty, gendered hierarchy in the normal family, and cultural stigma of North Korea to restart their daily lives in South Korea. Nevertheless, their linguistic and cultural resource which they get in the Western countries enables North Korean women to confront the discrimination and the stigma toward North Korean settlers in South Korea society. The flexible citizenship whi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