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어 리더』: 북한 남성의 자유를 향한 역사 기록적 삶쓰기
This pap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a male North Korean defector’s narratives in Dear Leader, one of a growing number of co-written memoirs by North Korean defectors. Because it was written by a high-level insider—one at the very top of the North Korean power structure—who also happens to be an articulate and sensitive writer, with a vastly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at of
[학위논문] 중조 국경도시 단동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Dandong studies to reconceptualize the border from a 'research site' to a 'research object.' The case of Dandong suggests that the existing concept of border with a dichotomy of border strengthening and weakening will no longer suffice in any border studies today. In addition, border researchers need to give attentions to who is doing border crossing. In Dandong, the four groups not only...
[학위논문] <굿 비즈니스, A Good Business> : 탈북 다큐멘터리에서 여성 캐릭터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뉴스 등 미디어의 영향이 크다고 여겨진다.본 연구는 지난 10여 년 동안 제작된 탈북 다큐멘터리들 가운데 <천국의 국경을 넘다(Crossing Heaven’s Border)> 시리즈를 텍스트로 하고 있다. 조선미디어그룹(Chosun Media Group)의 대표적인 크로스미디어 프로젝트(Cross-Media Project)인 이 시리즈는 지난 2008년 <천국의 국경을 넘다(Crossing Heaven’s Border)>를 시작으로 2013년 <머나먼 여행(Phantoms of the Border)> 2018년 <굿 비즈니스(A Good Business)>로 이어져왔다. 모나코 몬테카를로 TV 페스티벌...
[학술논문] 난민에서 시민으로: 모델 마이너리티 이론으로 난민 경험 읽기
Krys Lee’s How I Became a North Korean (2016) describes North Korean refugees’ border-crossing experiences and resettlement processes. Reading the different journeys of the text’s three main protagonists—Danny, Yongju, Jangmi—this paper argues that the model minority idea centralizes their transformation from refugees to citizens within the host countries. By internalizing...
[학술논문] 경계 넘기(border-crossing)로서의 중학교 교육 경험과 구성적 정체성 형성 : 북한배경학생을 중심으로
이 연구는 북한과 제3국, 국내의 여러 출생지에서 태어나 중학교에 재학 중인 북한배경학생들의 교육 경험을 경계넘기(border-crossing)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로는 북한배경학생들이 경계넘기를 통해 구성하는 정체성의특징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북한배경학생 교육 지원 정책에 어떠한 변화가 요구되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방법은 면담을 사용한 질적연구로,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5명, 학부모 5명, 교사 1명, 통일전담교육사 3명, 총 14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개별 면담 및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출생지를 막론하고드러나는 북한배경 중학생들의 다층적 경계 넘기의 특징을 통해 제도적 경계의 한계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북한이라는공간과 관계맺는 정체성 형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