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정치사 속에서의 단군민족주의
...thing in the people is the idea of Dankun belief system. The foundation of thoughts in Korea learning is in the Dankun spirit. In the modern age, the Dankun Spirit is the energy for the national peril aspect in national security. Especially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was overcome by the Dankun belief system. In Korean people the identity have formulated by the one spirit of Dankun Founder. To...
[학술논문] Economic Security in Transition: The Role of RussiaNorth Korea Cooper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 across political, military, and economic domains, undermining international sanctions and complicating regional security dynamics. This article analyzes key areas of economic cooperation, including trade, energy, labor, infrastructure, and such emerging sectors as tourism and digital technology. It argues that although Russia’s economic capacity to support North Korea remains limited compared...
[학술논문] Should Japan go Nuclear?
In view of the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in Northeast Asia, stemming fromChina’s assertiveness in regional issues and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the threat perception in Japan has considerably heightened. This has triggered adebate domestically in Japan about whether it is an appropriate time to review itsnuclear option as a means of deterrence. Such thinking presupposes...
[학술논문] 침해사고 분석을 통한 기반시설 보호 강화 모델 연구
...위한 기반시설의 보호 및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켰다. 그러나 이들 기반시설에 대한 사이버보안 활동이나 제도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에 향후 유사한 침해사고는 지속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심지어 심각한 피해를 유발할 우려도 있어 우리 국민들은 불안해하고 있다. 특히 북한이 6개의 해킹조직으로 6,800여명의 해커를 운영하면서 불법자금 획득과 에너지․교통 등 기반시설까지 해킹하여 심리전까지 구사하고 있어 우리의 국가안보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최근 국내외 기반시설에서 발생한 침해사고 사례, 그에 따라 수립된 대책의 이행과정과 현행 기반시설 보호제도의 운영상 미비점을 분석, 평가하여 기반업무 수행체계 재정립, 기반시설 지원 강화 및 의무 부과, 보안점검 및 대응훈련 강화 등...
[학술논문] 사이버 공간에서의 안보의 현황과 전쟁억지력
...통해서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사이버 안보의 개념을 정립하고, 사이버 무력공격과 사이버 테러리즘 그리고 사이버 범죄 등에 대해 국내·외의 규범에 대한 분석과 대응을 국가적 차원에서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지금 이 시간에도 북한의 사이버전사(戰士)들이 평양과 해외거점의 데스크에 앉아 우리의 국가기관전산망, 금융망, 통신망, 교통망, 에너지망, 교육망 및 상용망 등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있고 더 나아가 해킹 등 사이버테러도 불사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정국 상황에서 국가사이버안보법을 하나의 기본법으로 통합하여 제정할 경우 세밀한 법리 검토와 부가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항이 많이 발생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사이버안보법의 제정은 무엇보다도 긴급한 사항이므로 단기적으로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