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분단과 남·북한 친족법의 변화
...Korea that played a main role to stabilize patriarchal family system in the capitalistic society since the emancipation of Japanese colonial era is currently operated to support the realization of gender equality that is centered on husband and wife by abolishing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On the other hand, North Korean law concerning the family issues, where this paper lays special emphasis,...
[학술논문] 분단경험과 남북한 상속법 - 북한 상속법을 중심으로 -
...of the regulations in South Korea have taken the issue of gender inequality into account. On the other hand, North Korean inheritance law has already considered gender equality from its enactment. After 1990, as South Korea revised the Rankings of the Legal Heir and Legal Portions in Inheritance in its civil law in consideration of gender equality, the gap between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laws...
[학술논문] 한국어 교재에 표현된 사회적 차별 요소: 결혼이민자, 이주노동자, 북한이탈주민 대상의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Korean coursebooks, instances of gender role stereotypes occur most frequently. The second most frequently verbal discriminatory expression found referred to gender personality and behavior, while the third most frequently used discriminatory expression referred to physical appearance and body image. Also revealed in the study was a high recurrence of referencing gender role stereotypes in Korean coursebooks...
[학위논문]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가족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여
...couples, and eight themes were drawn out as following: 〈pride between a residence and confidence〉, 〈language between straight and roundabout speaking〉, 〈money between absolute and relative value〉, 〈gender role between discrimination and difference〉, 〈ritual between careless and carefulness〉, 〈behavior pattern between competence and rashness〉, 〈value between simplification and variety〉, and 〈bring up...
[학술논문] 북한 여성과 통일한국의 양성평등 과제
북한의 양성평등은 향후 남북한 통합과정에서 사회통합의 중요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 상이한 이념과 체제하에서 장기간 생활했던 남북한은 현실생활에서 각각의 고유한 젠더(gender) 인식을 보편적인 생활양식으로 제시할 경우 통일한국 주민들의 사회통합은 요원할 것이다. 전통적인 가부장적 권위사회와 사회주의의 마초이즘(machoism)이 복합적으로 결합된 북한 주민의 남성우위 인식은 남한 국민들과 심각한 갈등을 야기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 본 연구는 남북한의 양성평등의 간극을 좁히는 것이 통일한국의 사회통합에 바람직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본 연구는 미래 한반도의 사회통합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북한의 양성평등 실태와 의식을 실증적으로 조사하고 대응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탈북여성 대상의 조사결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