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새터민 여성의 건강관련 체력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새터민의 건강관련 체력과 삶의 질을 연구하는데 있다. 새터민이란 북한이탈주민에대한 새로운 대체 용어로, 최근 새터민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새터민 만 명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체력과삶의 질에 관한 연구는 거의 보고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터민의 신체조성, 심폐지구력, 근지구력, 유연성, 삶의 질을 측정하고 동일 연령대 남한여성 및 입국 6개월 미만과 3년경과 새터민을 집단 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동일 연령대 한국 여성과비교했을 때, 전반적으로 각 연령별로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는 낮은,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6개월미만 적응 집단 보다 3년 이상 적응 집단이 체력변인에서는 신체효율지수(PEI)(p<.05)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과 사회적응이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Korea.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positively is related to social adjustment. The meaningful variables which influenced the subjects’health-related quality include social adjustment, job in South Korea, job in North Korea, current family structure, and trauma experiences in South Korea.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se factors for health-related quality in North Korean Defectors is 43.0%...
[학술논문] 물환경분야 남북한 협력방안
...the quality of life of the North Korean people and is the foundation of public health and industry. It is a leading investment to reduce the cost of unification and is a new growth engine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his study, we proposed a plan to exchange and cooperate in water environment for building water infrastructure of North Korea by examining the data related to water quality, water...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임상군의 정신건강지표 및 신체활동지표와의 연관성 연구: 예비연구
... included contents related to depression, suicidal risk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xiety, insomnia, physical symptoms, quality of life, coping skills, social support, and drinking. Physical activity variables included the number of steps walked per day, sleep time, and sleep efficiency were measured by Fitbit. Results The 7th quest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Trouble concentra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