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Arrow and the Sun: A Topo-mythanalysis of Pyongyang
...concrete-and-marble-made narrative was built gradually. After a diachronic description of key sites, I locate topologic and symbolic structures that enable a "topo-mythanalysis," or analysis of the imaginary ("imaginaire" in French) providing the framework for the (re)construction of Pyongyang. We find a historical axis which rotates slowly during the 1970s and 80s around a center corresponding...
[학술논문] 소련기행과 두 개의 유토피아-해방기 “새조선”의 이상과 북한의 미래
...‘주체의 영토화’가 수행되었다는 점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소련기행이라는 사건/ 텍스트가 갖는의미를 재론하였다. 해방기 북한 문학자들의 소련기행을 논의함에 있어 포스트식민 상황이나 모더니티의 경험이라는 차원을 염두에 두는 가운데, 이 텍스트들이 어떻게 ‘정치적 상상’(political imaginary)의 재편에 관여하며 또한 이 상상을 통해 소련의 현재와 조선의 미래를 접속시켜나가고자 했는가를 논의해보려는 것이다. 해방기 ‘정치적 상상’의 재편을 통해‘냉전의 지정학’이 작동되던 방식과 정치적․제도적인 차원의 경계구성에 연동되어 심리적인 규율체계가 재정립되고 ‘존재-장소’에 대한 상상의...
#떤 의미와 효과를 가졌는지에 관하여 재론하되 #논의를 1946년 당대에 국한하지 않고 최근의 북한사회에 이르기까지의 보다 넓은 시간적 맥락에 접속시켜보고자 했다. 이때 이음매 역할을 하는 것은 오랜 시간 북한에서 중요한 국가 이데올로기로 작동한 바 있는 두 개의 인식론적 기획 #즉 ‘사회주의적 기획’과 ‘민족적 기획’이다. 소련기행이 해방 직후 북한사회가 모색한 인식론적 기획의 일단을 일찌감치 확인시켜주는 사례라는 점에 주목하여 #아울러 이러한 기획이 현재까지도 유효하게 작동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북한사회를통시적으로 바라보는 하나의 관점을 모색 #제시해보고자 한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이논문은 그간의 소련기행 연구(사)를 보다 두텁게 하는 동시에 #북한(문학)연구의 다각화에 기여하는 효과적인 문제틀을 모색해본다는
[학위논문] 김일성의 대미관 변화에 관한 연구 : VICS기법을 활용한 운영코드 비교분석
...this dissertation finds the following patters of his perception of the US. First; his perception were “mixed” with positive friend and negative hostility. Second; Kim's motivational imaginary was that the US was highly motivated by power and intermediately motivated by achievement; while the DPRK had a clearly cooperative orientation and needs for affiliation; together with intermediately...
[학위논문] 김일성의 대미관 변화에 관한 연구 : VICS기법을 활용한 운영코드 비교분석
...this dissertation finds the following patters of his perception of the US. First; his perception were “mixed” with positive friend and negative hostility. Second; Kim's motivational imaginary was that the US was highly motivated by power and intermediately motivated by achievement; while the DPRK had a clearly cooperative orientation and needs for affiliation; together with intermediately...
[학위논문] <굿 비즈니스, A Good Business> : 탈북 다큐멘터리에서 여성 캐릭터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reproduced in the documentary are the desire theory and psychoanalytic structural diagnosis of Jacques Lacan and the désir triangulaire of Rene Girard. According to Lacan an existence the imaginary realm is born as a subject as it enters the symbolic realm. In this process a subject loses itself which is referred to as alienation. The alienated subject seeks the position of its lost self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