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투사례로 본 군사보안의 중요성 연구 - 6.25 전쟁 초기, 개성일대 전투를 중심으로 -
“역사는 거울”이라는 말은 반복되는 역사적 사실을 통해 우리는 적을 대비해야 한다는 뜻이다. 현재 우리는 북한의핵과 미사일을 포함하는 각종 도발에 직면해 있다. 우리가 북한을 주적으로 설정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전하기위해서는 우리 군은 적의 위협에 항상 철저히 준비되어야 한다. 6.25 전쟁 전투사례를 보면 준비된 적과 무방비 상태의국군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요약할 수 있다. 북한군은 해방 이후 치밀한 계획 하에 중공군을 편입시키고 소련군 군사고문단 지원 하에 전투 장비를 배치하여 군단 급 훈련까지 마친 상태에 비해, 당시 국군은 대대급 훈련도 마무리 못한 상태였다. 전·평시 군사보안을 위해 나의 정보는 숨기고 적은 찾아서 대비해야 한다. 북한군은 전쟁을 준비하면서 치밀하게
[학위논문] 北韓의 對美 非對稱 抑止.强制 戰略 : 핵과 미사일 사례를 중심으로
...an asymmetric strategy. As we can see in Iraqi case, the asymmetric strategy can end up with a lopsided defeat and major catastrophe to its own practitioner if it fails to deter much more powerful enemy states. North Korean leaders are not only completely free from public options but also highly militaristic. For them, policy objects themselves are much more important than their processes. This propensity...
[학위논문] 북한의 군사국가화에 관한 연구 : 1950∼60년대를 중심으로
...fourth distinction is the generalization of military work-mobilization. The mobilization style was based on the emphasis on national crisis, the urge of people's chauvinism and hate against their enemy, and unification-solidarity centered on Kim II Sung Su-ryoung. The process had a resemblance to the military hierarchial order system and mobilization style.
Finally, North Korea, through...
[학술논문] 6.25전쟁 초기 북한의 기동전략 실패원인에 대한 연구
...achievement of victory in the beginning of the Korean War, but did not accomplish the goal, and the cau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avoided the enemy's strong points and did not attack weak points. In a maneuver strategy, the attack on the enemy’s weak points is crucial for operational success, and the North Korean Army at the time strongly attacked the strong points of the South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