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n integrative theoretical perspective on Russian organized crime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strength. Their cultural goal is power dominance and satisfying their warrior desires. Their goals are realized by the socially approved mean such as the career of military, law enforcement, and security service, etc.. In anomie, the legitimate means shrunk and criminal opportunities increase. Most predatory men adopt illegitimate means for reaching to their cultural goal. That is...
[학술논문] China’s Position on North Korea’s Provocations
A series of North Korean military provocations, including an artillery attack on Yeonpyeong Island in 2010, long-range rocket launches in 2012, and a third nuclear test in 2013, have undermined the security environment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ose provocations startled China’s leadership and put China in a tight spot diplomatically. China can’t abandon North Korea, however. China...
[학술논문]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Unification Policy: Issues and Challenges
...presented to each administration and medium- to long-term policy objectives. While implementing the Trust-Building Process, the Park administration also had to deal with North Korea’s nuclear and military provocations. These periodic setbacks frustrated the administration’s unification policy momentum. This study also shows that every administration learns from the successes and failures of previous...
[학술논문] 군생활체험 TV프로그램 ‘진짜사나이’ 시청이대학생의 군 이미지와 안보의식에 미치는 영향
이 연구의 목적은 진짜사나이 시청이 대학생의 군 이미지와 안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충청, 전라에 있는 대학생 중 편의추출법으로 392명을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진짜사나이 시청정도에 따라 군 이미지, 안보의식에 차이가 나타났다. 군 이미지 하위요인 중 합리성, 응집성, 권위성, 폭력성, 권위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안보의식 하위요인 중 대북정책에 대한 시각, 북한에 대한 시각, 북한의 군사적 위협, 안보의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진짜사나이’를
[학술논문] 전투사례로 본 군사보안의 중요성 연구 - 6.25 전쟁 초기, 개성일대 전투를 중심으로 -
“역사는 거울”이라는 말은 반복되는 역사적 사실을 통해 우리는 적을 대비해야 한다는 뜻이다. 현재 우리는 북한의핵과 미사일을 포함하는 각종 도발에 직면해 있다. 우리가 북한을 주적으로 설정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전하기위해서는 우리 군은 적의 위협에 항상 철저히 준비되어야 한다. 6.25 전쟁 전투사례를 보면 준비된 적과 무방비 상태의국군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요약할 수 있다. 북한군은 해방 이후 치밀한 계획 하에 중공군을 편입시키고 소련군 군사고문단 지원 하에 전투 장비를 배치하여 군단 급 훈련까지 마친 상태에 비해, 당시 국군은 대대급 훈련도 마무리 못한 상태였다. 전·평시 군사보안을 위해 나의 정보는 숨기고 적은 찾아서 대비해야 한다. 북한군은 전쟁을 준비하면서 치밀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