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Cross-Strait Exchanges after the 2000s
...in Taiwan, there are two major approaches to dealing with the mainland, the first in the ‘One China’ approach – i.e. Chinese nationalism – the second is the ‘Taiwanese identity’ approach – i.e. Taiwanese nationalism, or separatism.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e role of the United States also cannot be ignored. Whereas in inter-Korean relations, the United...
[학술논문] 한국 정치사 속에서의 단군민족주의
...Dankun nationalism is the debate of the intellectuals. There is the issues of the historical facts or the symbolic meaning. Therefore the importance of symbolic meaning is very useful conception in Korean people consciousness. Since the Korean Peninsula have divided the two Korea of the North and the South, the Korean people want the unification of Korea. The reverence of Dankun nationalism is the...
[학술논문] 민족주의적 국가전략을 통해 본 아베 내각의 대외정책과 동향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일본의 민족주의적 국가전략은 1990년 전후로 발생한 국내정치와국제정치의 변화 소용돌이 속에서 경제 대국으로서의 지위 상실에 따른 위기감을 정치․군사대국화 노선을 통해 보완하려는 측면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일본의 민족주의적 국가전략은전후 체제 하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해 온 거시성장 정치시스템에 기초한 기업국가의 위기42)와냉전질서 및 미일안보체제에 기초한 정치 소국주의 노선의 위기에 대한 반발로 나타났던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노선은 요시다→이케다→사토→다나카로 이어진 국가 이념과 진로, 즉 평화 헌법에 기초한 국제 평화주의와 전수방위, 경제성장 우선주의, 주변국들과의 우호적인 관계 유지 등을주된 내용으로 하는 정치 노선으로부터의 탈각이었다. 결과적으로
[학술논문] 통일을 대비한 문화유산 교육의 방향 -디지털 전통문화 콘텐츠를 중심으로-
...meet the requirement and change of the unity-oriented and post-cold war era for the restoration of homogeneity, and should move into the direction of accommodating not exclusive and non-ethnic nationalism but a variety of ethnic and cultural view point. In addition,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digital cultural heritage content and building organic network between government agencies, private research...
[학술논문] 1960년대 조선 『아동문학』과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East Asia as appeared in Children’s Li terature Magazine of DPRK in the 1960s when the DPRK emphasised the importance of “Marxist-Leninist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East Asian countries that appeared in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60s are DPRK, the Republic of Korea (hereafter ROK), China,Vietnam, and Mongolia. Of these, China, Vietnam,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