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對)테러리즘 분야 연구경향분석:치안본부 대테러연구를 중심으로
국제사회는 서독 뮌헨올림픽에서 팔레스타인 테러조직 검은 9월단(Black September)이 이스라엘 선수단을 대상으로자행한 인질․납치․살해 테러리즘에 큰 충격을 받았다. 한국도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북한의 국가지원 테러리즘, 무력도발, 국지전 등의 위협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었다. 이에 한국 정부는 1982년 1월 대통령훈령 제47호「국가대테러활동지침」을 제정하여 국가 대(對)테러리즘 업무수행을 위한 필요 사항을 규정하였고, 국가안전기획부와 치안본부가 주무부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치안본부 시절 경찰의 대테러관련 역할을 고찰하고, 1983년부터 1990년까지 동 기관에서 발간한『대테러연구』의 학문적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는데, 이를 살펴보면 첫째
[학술논문] 북한의 사이버전 위협분석과 대응방안 고찰
본 연구에서는 위협이 증가되고 있는 사이버전의 위협과 사이버전에 전장 환경의 위협이 무엇인가에 대해 현재 일어나고 있는 실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주요 선진 국가들이 사이버전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에 대한 현 실상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세계 3위권의 사이버전 수행능력을 구비하고 있는 북한의 사이버전 위협과 북한의 사이버전 전략이 한국의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으며, 현존하는 북한의 사이버전 위협과 미래에 예상되는 북한의 사이버전 위협에 한국이 어떻게 대비하고 대응할 것인가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학술논문] 신종테러범죄, 이른바 뉴테러리즘(New Terrorism)에 대한 국내외 연구현황
본 논문은 신종테러범죄, 이른바 뉴테러리즘에 대한 국내외 연구현황에 관하여 조사・소개하였다. 우선 신종테러리즘을 단순히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테러행위로 파악하기 보다는 전통적 테러리즘과 그 목적이나 방법, 효과 등이 구분되는 새로운 테러리즘, 특히 미국 9.11테러 이후 미국 학계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이른바 뉴테러리즘(new terrorism)으로 파악하고, 그 개념과 원인, 유형, 대처방안에 관한 국내외 연구현황을 차례로 소개하였다. 연구방법론과 관련하여서는 언어네트워크방법론을 활용하여 대(對)테러리즘에 관한 국내의 연구 경향을 분석한 몇몇 선행연구들을 소개하였는데, 이들 연구들은 국내 테러리즘 관련 그간 연구들의 관심이 주로 무엇이었는지를 핵심주제어, 예컨대, “테러”, “대테러”
[학술논문] 『특정금융정보(FIU)법』의 개정을 위한 제언
현재 우리가 시행하고 있는「특정금융정보법」은 국가정보기관의 핵심 업무인 국가안위․존립과 같은 중대사건 수사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하여 북한의 국제성 범죄와 안보관련 사건 수사에 난항을 겪고 있으며, 국내에서 활동하는 국제범죄조직의 검거에도 어려움이 많다. 또한 전략물자 불법유출 사건 조사 차질, 불법 테러리즘 자금조달혐의자 내사 난항 등의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현행「특정금융정보법」의 개정이 시급하다. 해외정보기관은 이미 금융정보를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중국의 국가안전부와 호주의 보안정보부 등은 법․제도에 근거해 금융정보기구의 금융정보를 자유롭게 활용하고 있다. 미국의 중앙정보국․연방수사국과 영국의 비밀정보부․보안부 등도 금융정보기구로부터 금융정보를 요청해 제공
[학술논문] 글로벌 대테러리즘 포럼(Global Counterterrorism Forum) 참여에 대한 한⋅일 비교
본 연구는 미국이 주도하는 대테러리즘 국제레짐인 GCTF에 일본은 참여하고 한국은 참여하지 않았던 원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국제레짐 이론에서는 국제레짐 자체의 수립과 쇠퇴를 설명하면서 개별 국가의 구체적인 이익(참여동기)에 대해서는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합리적선택론에서 볼 때 일본과 한국은 아시아 지역에서 미국의 주요 동맹국이면서 공통적으로 테러위협 수준이 낮고, 대테러리즘 대응능력도 차이가 크지않다는 점에서 GCTF 참여에 대해 다른 선택을 한 원인을 설명하기 어렵다. 연구결과, 한국은 이명박 정부가 공언한 ‘성숙한 세계국가론’에도 불구하고 안보 영역에서는 실질적인 활동이나 역할이 없었으며, 한미동맹 차원에서 북한이라는 명시적인 적대국에 초점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GCT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