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준감독 학습과 공간 유사성을 이용한 비접근 지역의 작물 분류 - 북한 대홍단 지역 사례 연구 -

Crop Classification for Inaccessible Areas using Semi-Supervised Learning and Spatial Similarity – A Case Study in the Daehongdan Region, North Korea –

상세내역
저자 곽근호, 박노욱, 이경도, 최기영
소속 및 직함 인하대학교
발행기관 대한원격탐사학회
학술지 대한원격탐사학회지
권호사항 33(5)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689-698
발행 시기 2017년
키워드 #Classification   #Crop   #North Korea   #Semi-supervised learning   #곽근호   #박노욱   #이경도   #최기영
조회수 30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논문에서는 비접근 지역의 작물 분류를 목적으로 준감독 학습에 인접 화소의 공간 유사성 정보를 결합하는 분류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적은 수의 훈련 자료를 이용한 초기 분류 결과로부터 신뢰성 높은 훈련 자료의 추출을 위해 준감독 학습 기반의 반복 분류를 적용하였으며, 새롭게 훈련 자료 추출시 인접한화소의 분류 항목을 고려함으로써 불확실성이 낮은 훈련 자료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북한 대홍단에서 수집된 다중시기 Landsat-8 OLI 영상을 이용한 밭작물 구분의 사례 연구를 통해 제안된 분류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사례 연구 결과, 초기 분류 결과에서 나타난 작물과 산림의 오분류와 고립된 화소가 제안 분류 방법론에서 완화되었다. 또한 인접 화소의 분류 결과를 고려한 훈련 자료 추출을 통해 이러한 오분류 완화 효과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초기 분류 결과와 기존 준감독 학습에 비해 고립된 화소도 감소되었다. 따라서 비접근 지역으로 인해 훈련 자료의 확보가 어려울 경우 이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론이 작물분류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