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준감독 학습과 공간 유사성을 이용한 비접근 지역의 작물 분류 - 북한 대홍단 지역 사례 연구 -
이 논문에서는 비접근 지역의 작물 분류를 목적으로 준감독 학습에 인접 화소의 공간 유사성 정보를 결합하는 분류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적은 수의 훈련 자료를 이용한 초기 분류 결과로부터 신뢰성 높은 훈련 자료의 추출을 위해 준감독 학습 기반의 반복 분류를 적용하였으며, 새롭게 훈련 자료 추출시 인접한화소의 분류 항목을 고려함으로써 불확실성이 낮은 훈련 자료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북한 대홍단에서 수집된 다중시기 Landsat-8 OLI 영상을 이용한 밭작물 구분의 사례 연구를 통해 제안된 분류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사례 연구 결과, 초기 분류 결과에서 나타난 작물과 산림의 오분류와 고립된 화소가 제안 분류 방법론에서 완화되었다. 또한 인접 화소의 분류 결과를 고려한 훈련 자료 추출을 통해 이러한 오분류
[학술논문] 주단위 표준강수증발산지수를 활용한 2014~2015년 북한의 극한 가뭄 평가
...vulnerable countries facing the threat of natural disaster and has experienced more frequent disasters in recent years. These disasters have significantly led to food shortages and large reductions in crop yields. In 2015, both North Korean officials and international agencies had identified the extreme drought event, the worst in one hundred years according to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he objective...
[학술논문] 북한 지역별 기온 자료를 활용한 벼 안전 재배 시기 분석
본 연구는 북한 27개 기상 관측 지점의 1981∼2016 년 기온 자료에 벼 주요 생육 단계의 기준 온도를 적용하여 지역별 벼 안전 재배 가능성을 분석하고 각 지역의 기온에 적합한 재배 시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벼 안전 재배 가능 햇수 비율은 개성, 해주, 용연, 신계, 사리원, 남포, 평양, 안주, 구성, 신의주, 장전, 원산, 남포, 평강, 희천, 수풍, 강계의 17 지역에서 90% 이상이었고, 양덕과 신포의 2개 지역에서 80∼90%로 벼 재배의 안전성이 높았다. 김책, 청진, 선봉, 중강, 장진, 풍산, 혜산, 삼지연의 8개 지역은 벼 안전 재배 가능 햇수의 비율이 80% 미만으로 재배 안전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특히 북부 고산 지대에 속하는 4개 지역에서는 안전
[학술논문] Evaporative Stress Index (ESI)를 활용한 북한의 위성영상기반 농업가뭄 평가
North Korea has frequently suffered from extreme agricultural crop droughts, which have led to food shortages, according to the Food and AgricultureOrganization (FAO). The increasing frequency of extreme droughts, due to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has increased the importance ofenhancing the national capacity for drought management. Historically, a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based on data...
[학술논문] A Most Difficult Year: Will North Korea Survive Its Current Travails?
North Korea is in trouble. The COVID-19 pandemic, self-imposed isolation and lockdowns, crop failures, sanctions, and other factors have put the economy in a parlous state, a fact acknowledged by Kim Jong Un himself. The state planning mechanism seems broken, foreign exchange holdings are down, state revenue is shrinking, foreign trade numbers have collapsed, and growth is declining. The measures tak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