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헬싱키 프로세스의 경로창발성: 동북아에의 시사점

Path Emergence in the Helsinki Process: Implications for Northeast Asia

상세내역
저자 홍기준
소속 및 직함 경희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유럽학회
학술지 유럽연구
권호사항 32(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09-132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경로창발성   #헬싱키 프로세스   #동북아 평화협력구상   #CSCE   #홍기준
조회수 8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박근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은 유럽의 경험인 ‘헬싱키 프로세스’를 모델로 하고 있다. 헬싱키 프로세스는 1975년에 동서 양 진영 간에 채택된 ‘헬싱키 최종협약’ (Helsinki Final Act)을 모태로 출범한 범유럽 다자안보협력 회의체가 1989년 동구권의 붕괴에 기여를 하고 유럽에서 냉전체제를 종식시킨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헬싱키 프로세스는 출범 초기에 의도되지 않은 ‘경로창발성’을 유발하였다.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이 헬싱키 프로세스와 같이 경로창발성을 유발 할 수 있을지 검토하기 위하여 두 프로세스의 초기조건을 검토하였다. 경로창발성은 초기조건의 민감성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이 헬싱키 프로세스와 유사한 경로를 갈 것으로 단정할 수는 없다. 또한 동북아의 가장 민감한 안보이슈인 북한의 핵문제를 배제하고 있어서 6자회담의 재개 여부에 따라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의 경로가 결정될 것으로 보이다. 따라서 현 단계에서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의 미래를 단정적으로 예측하기는 어렵다.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이 순항하기 위해서는 남북관계가 획기적으로 개선되어 한반도에 긴장이 완화되는 것이 필요하고 관련국들의 합의와 지지 속에서 6자회담과 병행하여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