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화 <복무의 길>에 나타난 선군시대 북한의 여성과 가부장적 온정주의
본 연구는 북한의 예술영화 <복무의 길>(2001)을 통해 선군시대 북한의 여성과 가족 이데올로기를 살펴보고 있다. 이 영화는 2000년대 초반 북한당국과 영화평단에서 높이 평가받은 영화이자 선군시대 군사영화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작품이다. 이 영화는 ‘총대가정’에 끼지 못했다고 소외감을 느끼는 경심이라는 젊은 여성이 군에 입대하여 참다운 ‘복무의 길’을 걷게 되는 과정이 주로 플래시백이라는 영화 서사적 장치를 통해 그려진다. 첫 번째 플래시백은 경심 자신의 것인데 반해, 두 번째, 세 번째 플래시백은 아버지와 군 정치위원 등 남성 화자의 것이다. <복무의 길>은 여성인 경심을 미숙하고 채 완성되지 않은 화자로 설정하고, 두 남성 화자에게는 경심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