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컨퍼런스] 2022 통일과나눔 컨퍼런스 <격변과 대전환의 한반도, 통합으로 통일을 연다>
...
이번 컨퍼런스는 오는 5월 새정부 출범에 즈음해서 미중 경쟁 심화와 남북 및 미북 대치격화 등 격변하는 한반도 정세와 우리 내부의 통일에 대한 인식변화를 짚어 보고 그런 상황속에서 한반도 통일과 미래비젼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2022 통일과나눔 컨퍼런스>
대전환의 한반도, 통합으로 통일을 연다
▪ 일시 : 2022년 4월 29일(금)...
[통일과나눔 컨퍼런스] 제3회 한중 전략 컨퍼런스 <중국이 본 한반도 정세와 한중관계>
[들어가며]
중국이 보는 미-중 경쟁관계는 어떤 것이며, 오는 11월 미국 대통령선거 결과에 따라 미-중 관계는 어떻게 변할까? 이런 국제정세 변화가 한반도 정세에 미칠 파급효과는 무엇이며 우리 통일에는 어떤 영향을 주게 될까? 한국과 중국의 외교안보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미-중 경쟁구도와 한반도 정세 및 미국 대선이후 세계 정세 변화를 전망해 보는 컨퍼런스가 지난 달 2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렸다.
재단법인 통일과나눔과 연세대 중국연구원은 이날 한국과 중국의 외교 안보 국제문제 전문가 15명을 초청해 <중국이 보는 한반도 정세와 한중관계>라는 주제로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컨퍼런스는 1세션 '미국...
[사회/문화]
북한의 진짜 모습을 알려 주는 <남북 탐구 생활> 시리즈,
그 완결편!
‘북한의 초등학교는 어떤 모습일까? 북한 학교에도 급식이 있을까? 북한 학생들도 공부 부담을 가질까? 스마트폰이나 게임을 할까?’ 이런 질문에 선뜻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궁금증을 가지고 알아보려고 해도 잘못되었거나 과장된 정보가 많아, 북한의 모습을 알기란 쉬운 일이 아니지요. 특히 외래문물이 들어오며 급속하게 달라지고 있는 북한의 변화 속도에 비해서, 우리가 접하는 정보는 몇 년이나 느립니다. 그래서 <남북 탐구 생활> 시리즈에서는 현재 북한 모습을 최대한 사실과 가깝게 담고자 했습니다. 평양에 사는 소학교 2학년 리혁신과 가족의 일상을 재미있는...
[사회/문화]
...세계 곳곳에서 남자들이 저질러 놓고 다니는 전쟁과 폭력에 맞서 당당하게 투쟁하는 여성들의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이 책에서 여성들은 강간을 당하고 비참하게 버려진 동료의 죽음에 항의하며 알몸으로 철조망 앞에서 시위를 하기도 하고, 아프리카의 무서운 독재자와 단독 면담을 해 호의적 약속을 받아내기도 하며, 삼엄한 미사일 기지 앞에서 비가 오나 눈이 오나 텐트를 치고 농성을 벌이기도 한다.
남성들이, 경찰이, 우파가, 기성 좌파가, 미디어가, 심지어 같은 여성들조차 비웃고 무시하고 경멸하고 주먹을 휘두르기도 하지만, 이 책에 등장하는 수많은 여성들은 굴하지 않고 줄기차게 반전평화와 인권과 해방을 외친다.
전장(戰場)에 서리라도 내리게 할 여성들의...
[학술논문] 한국 전쟁 기 북한을 방문한 중국화가들
...작가들은 사천성미술학원 출신의 젊은 미술가들로 구성되었으며, 마조인(馬兆仁), 손견광(孫見光) 등 지원군 정치부 문화부 (志願軍 政治部 文化部) 소속의 화가들은 중앙미술학원의 미술간부훈련반 출신의 젊은 화가들로 구성되었다. 이들의 주된 임무는 중국인민지원군의 사기를 진작시킬 연환화를 제작하고 병사들의 초상화를 그리는 것이었다. 이들은 <황계광(黃繼光)>, <양국량(楊國良)> 등 ‘전쟁영웅’의 칭호를 부여받은 병사들의 전장에서의 활약상을주제로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전투기간 중 진지를 방문하여 일반 병사들의 초상화를 그리거나, 미군포로의 초상화를 그리기도 하였다. 특히 이들이 그린북한농민과 유격대원의 초상화, 북한 농촌을 그린 풍경화는 1950년대 북한의모습을 기록한...
[학술논문] 월경(越境)과 전향(轉向) 사이 - 박현숙 희곡 <사랑을 찾아서>(1960) 연구
박현숙의 희곡 <사랑을 찾아서>(『조선일보』, 1960.1.13~1.28)는 남과 북을 세 번 월경한 주인공 정애리와 사상을 회의하는 인민군 오영식을 중심으로 체제 ‘월경’에 대한 공포와 ‘전향’의 억압을 극화한다. 정애리의 월경 동인인 ‘순수한 사랑’은 자기 보존의 욕망, ‘생존’을 위한 욕망과 이어진다. 국가체제의 폭력, 내적 자유의 억압, 체제의 전향 강요에 대한 비판적 의식은 월경인 정애리와 경계인 오영식에게 가해지는 체제의 폭력을 다룬 4장부터 심화된다. 1장과 5장에 배치된 법정 장면에서, ‘월경인’ 정애리는 체제에 의해 잠재적 ‘죄인’으로 다루어지며 민규,...
[학술논문] 김정은 후계 계승의 문화기획으로서 예술영화 ‘백옥’ 연구
...‘백옥’이 의미하는 상징성 분석이다. 예술영화로 제작되었지만 영화 <백옥>은 기록영화의 특성을 보여준다. 후반부의 긴 엔딩 장면은 오진우의 영결식 장면을 그대로 활용하였다. 기록영화로 제작한 의도와 목적, 그리고 해석에서의 목적하는 정책적 의도이다. ‘백옥(白玉)’이 의미하는 것은 완전무결한 충정, 즉 ‘옥쇄(玉碎)’이다. 영화를 통해 오진우는 ‘죽음을 앞두고서도 두려워하지 않은 인물, 부서져 가루가 되어도 흰 빛을 잃지 않은 충정’으로 신화화(神話化) 되었다. 죽음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애도(哀悼)와 의미 부여를 통해 현실에서의 ‘오진우’ 이미지는 제거되고, 충정과 최고지도자를 향한 일심(一心)의 충정으로...
[학위논문] 북한의 문예정책과 구비문학의 활용 양상 연구
...둘째, 누구나 쉽게 따라 부를 수 있을 만큼 널리 알려진 노래라는 점 셋째, 정서적으로 밝고 경쾌한 것이라는 점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처럼 북한에서는 주제적으로, 정서적으로 밝고 경쾌한 것을 선택하고, 특히 통속민요를 통해서 이러한 점을 실현하려고 한다. 그런데 생활에서 오는 기쁨, 자연에서 오는 기쁨을 노래한 정서는 신민요와 맥이 통하는 것이다. 국토예찬과 명승감상에서 오는 기쁨을 노래한 것과 역사적 사실이나 사건을 회상하는 것 등은 신민요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주제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북한에서는 민요를 신민요적 정서로 받아들여 이를 전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에서 민요는 국가의 정치 경제적 상황과 맞물려 구현되고 있다. 북한 당국에 의해 실제로 민요가...
[학술논문] 영화 <비행>과 <무산일기>에 나타난 탈북자 캐릭터의 자본주의 수용 과정에 관한 고찰
... 탈북자 캐릭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영화 <비행>의 근수와 <무산일기>의 승철은 1단계 이질사회에서 주민번호로 인해 생소한 자본주의 한국 사회제체에서 오는 심리적 혼란을 겪으며 2단계 취업 준비에서는 자본주의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선택한 비정상적 및 일반적 취업 과정에서 느끼는 불안감과 갈등을 느낀다. 3단계 생활 정착에서는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과정에서 오는 동포 및 친지에 대한 연민과 동질감을 느끼며 4단계 사회화에서는 자본주의 사회 체제의 단점을 습득하고 받아들여 불합리한 자본주의 사회에서 오는 열등감을 이겨내려 한다. 마지막 5단계에서는열등감을 이겨내기 위해 자본주의 체제의 단점을 수용하는 것은 합법적이고 안정적인 사회통합을 이루지 못한다는 결과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