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을 바라보는 한국 영화의 시선‒간첩의 서사적 역할 분석을 중심으로
...차원에서 감지할 수 있는 표층적 변화만을 볼 수밖에 없었다. 본 논문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 영화가 북한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에 주목한다. 그러나 변화의 연대기적 기술보다 구체적인 개별 텍스트의 분석을 통해 영화 속 이데올로기를 규명한다. 가장 최근의 관점을 확인하기 위해 2014년 1월을 기점으로 최근의 작품인 <간첩>, <은밀하게 위대하게>, <베를린>을 서사-기호학적 이론으로 분석한다. 세 영화는 유사한 서사구조를 갖는다. 주체의 결핍 양상이나 서사적 역할들에 내재된 이데올로기가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남한과 북한을 대변하는 요원들을 묘사하는 방식이 매우 차별적이다. 인간과 비인간의 대립, 개인의 가치와 집단의 가치의 대립을 통해 남한의 우월성과 북한의...
[학술논문] 2010년대 한국 분단영화에 나타난 분단적대성 연구
...연구 결과, 전쟁을 다룬 영화 <국제시장>과 <인천상륙작전>은 관객에게연민과 슬픔을 주된 감정으로 유발하며, 전쟁과 분단의 고통을 감정적으로체험하게 만들었다. 군사적 위협을 다룬 <연평해전>과 <백두산>은 공포와분노를 자극하여 관객에게 북한의 위협을 실질적으로 느끼게 했으며, 남북협력에 대한 복합적인 감정을 불러 일으켰다. 남북 첩보전을 다룬 <은밀하게 위대하게>, <베를린>, <공조>는 긴장감과 불신을 기반으로 관객의 감정적 반응을 이끌어냈으며, 협력적 서사와 불신이 공존하는 감정 구조를 보여주었다. 남남갈등과 민주화 운동을 다룬 <택시운전사>, <변호인>, <1987>은국가폭력과 억압을 통해 슬픔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