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기 창작 창극과 국민/여성
...광주 지역에서 결성된 조선고전음악연구회는 <건설하는 사람들>(1945)을 여러 지방에서 공연했고, 북한 지역에 유사한 이름의 단체가 조직된 즈음 사라졌다. 서울에서 결성된 국극사는 농민의 갈등을 경희극풍으로 다룬 <청산도 절로 사람도 절로>(1946)를 공연하며 일제 말기에 인기를 끈 박귀희의 여창남역 표현술을 재활용했다. 창극이 민족오페라로 불린 정부수립기에는 (역사)설화 소재작들이 공연되었는데, 항일을 행하는 여성을 앞세운 경우와 일제 말기의 화제작을 재공연한 경우로 나눌 수 있다. 국극사의 <선화공주>(1948)는 여성 주인공을 내세웠고, 조선창극단의 <의기 논개>(1948)와 김연수창극단의 <임진왜란과 계월향>(1949)은 전쟁터에서 ‘충의’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