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주의 완전승리’ 테제와 북한의 경제노선 변화 연구 - 공격적 발전전략에서 수세적 방어전략으로의 전환
이 논문은 북한의 ‘사회주의완전승리’ 테제(이하 테제)와 경제노선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범위는 냉전기와 탈냉전기로 시기를 구분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정책비교 방법으로서 ‘대안체계’와 ‘7·1 조치’를 다루었다. 분석결과 테제는 주체사상을 이론적 토대로, ‘안보에서의 자위’를 대전제로, ‘경제에서의 자립’, ‘정치에서의 자주’가 전략적가치로 구성된 사회주의 발전전략이었다. 경제적으로는 생산력 발전을, 정치적으로는 공산주의 건설을 목적으로 하였다. 냉전기에는 공격적 발전전략으로 사회 전 분야에 적용되는 지배 메커니즘으로 작동되었으며, 탈냉전기에는 선군사상으로...
[학술논문] 『경제연구』를 통해 본 북한의 경제정책 관련 논의 변화: 화폐, 가격, 계획 분야를 중심으로
...경제정책이 작지 않은 변화를 보인 것에 상응해서 경제정책 관련 논의도 작지 않은 변화를 보인 것으로 파악된다. 화폐 및 가격 분야의 변화는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는 것이었다고 해도 계획분야에서 논의의 변화 폭은 예상보다 컸다. 기존의 대표적인 논의인 ‘대안의 사업체계’와 ‘계획의 일원화・세부화’가 크게 약화되었고, △경제전략, 기업전략, 전략적 경제관리, △계획지표의 합리적 분담, 주문계약에 기초한 계획화, △우리식경제관리방법,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 등 새로운 개념・범주들과 관련된 논의들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는 점이 눈에 띈다. 다만 이들 중 상당수는 내용적으로는 경제개혁적 정책을 새롭게 도입하면서 북한 안팎에서 볼 때 이 정책이개혁적 성격을 가진지 아닌지 제대로 식별할...
[학위논문] 북한의 현지지도와 정치리더십에 관한 연구
...1990년대 이후는 북한체제 위기가 극대화되는 ‘고난의 행군’ 시기이다. ‘선군정치’를 표방한 김정일의 현지지도 방식이 김정일식 정치로 제도화되었다.
북한의 현지지도와 정치리더십의 상관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김일성의 정치리더십은 북한 건국 초기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천리마운동, 대안의 사업체계, 청산리방법 등과 같은 군중노선을 통해 제도화 되었다. 김정일의 정치리더십은 3대혁명소조, 속도전 등과 같은 대중노선에 토대하여 선군정치로 제도화되었다. 북한 현지지도의 지배양식은 동의와 억압 기제 모두를 활용하였다. 그러나 대중동원 과정에서 형성된 유일적 지배체제는 정치발전을 저해하였다. 김일성은 사회주의 연속혁명과 대를 이은 충성을 내세움으로써...
[학위논문] 북한의 기술혁신운동과 현장 중심의 과학기술 정책 : 천리마 작업반 운동과 북한 과학원의 현지 연구사업을 중심으로
.
#북한 과학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원 #현지연구사업 #천리마운동 #천리마작업반운동 #기술혁신운동 #과학기술정책 #대안의 사업체계 #North Kore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e Academy of Sciences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e Chollima Movement #The Chollima Workteam Movement #The On-Site Research Program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Movement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olicy #The Taean Work System
[학위논문] 북한경제 체제전환에 따른 법제구축에 관한 연구
...1990년대 이후는 북한체제 위기가 극대화되는 ‘고난의 행군’ 시기이다. ‘선군정치’를 표방한 김정일의 현지지도 방식이 김정일식 정치로 제도화되었다.
북한의 현지지도와 정치리더십의 상관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김일성의 정치리더십은 북한 건국 초기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천리마운동, 대안의 사업체계, 청산리방법 등과 같은 군중노선을 통해 제도화 되었다. 김정일의 정치리더십은 3대혁명소조, 속도전 등과 같은 대중노선에 토대하여 선군정치로 제도화되었다. 북한 현지지도의 지배양식은 동의와 억압 기제 모두를 활용하였다. 그러나 대중동원 과정에서 형성된 유일적 지배체제는 정치발전을 저해하였다. 김일성은 사회주의 연속혁명과 대를 이은 충성을 내세움으로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