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로동당사의대외관계 서술 변화에 대한 연구
...자주노선이 정립된 1960년대 중반 이후(1964년판과 1979년판의 비교), 탈냉전기(1979년판과 1991년판의 비교), 김정일 시대(1991년판과 2004년판의 비교) 등으로 시기를 나누고, 세계적 수준의 중요한 사건 발생 이후 북한 대외정책의 기본이념인 ‘자주·평화·친선’ 관련 항목의 서술 변화를 살펴보았고, 더불어 그것이 가지는 의미를 분석했다. 조선로동당사는 수령을 중심으로 구성된 역사서술이며, 이는 대외관계 분야 서술에서도 그대로 나타난다. 분석결과 1979년판과 1991년판의 서술이 김일성이 이룩한 ‘자주’와 ‘친선’ 관련 성과들을, 그리고 2004년판 서술이 김정일의 ‘평화’와 ‘친선’관련...
[학위논문] 김정은 정권의 국가·대중 담론과 민족주의에 관한 연구
...통해 때로는 공격적으로 때로는 방어적으로 작용해왔다. 남북관계에서도 구심력과 원심력을 함께 가지며 북한의 국가 이익을 위해 선택적으로 활용되어왔다. 배제와 포섭의 관점에서 볼 때 북한은 국가 형성 시기 대외 주권이 소련에 의해서 견제되었기 때문에 국내적 통합이 중요했다. 국가 형성 이후에는 지속되는 경제 위기와 안보 위기의 항구화에 따라 국민 통합과 함께 자주적인 주권 확보가 다시 중요해졌고, 남북관계에 있어 민족주의는 이들 두 위기를 극복해 나가는 데 필요한 선택적 전략으로서 취해진 것이다.
북한은 사회주의 체제 완성을 위하여 국가 수립 시기 민족주의를 전면에 내세우지는 않았다. 해방과 함께 근대국가 체제 수립이라는 임무가 주어졌고 이에 따라 민족주의가 권력 쟁취와 대중 동원의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학위논문] 김정은 정권의 국가·대중 담론과 민족주의에 관한 연구
...통해 때로는 공격적으로 때로는 방어적으로 작용해왔다. 남북관계에서도 구심력과 원심력을 함께 가지며 북한의 국가 이익을 위해 선택적으로 활용되어왔다. 배제와 포섭의 관점에서 볼 때 북한은 국가 형성 시기 대외 주권이 소련에 의해서 견제되었기 때문에 국내적 통합이 중요했다. 국가 형성 이후에는 지속되는 경제 위기와 안보 위기의 항구화에 따라 국민 통합과 함께 자주적인 주권 확보가 다시 중요해졌고, 남북관계에 있어 민족주의는 이들 두 위기를 극복해 나가는 데 필요한 선택적 전략으로서 취해진 것이다.
북한은 사회주의 체제 완성을 위하여 국가 수립 시기 민족주의를 전면에 내세우지는 않았다. 해방과 함께 근대국가 체제 수립이라는 임무가 주어졌고 이에 따라 민족주의가 권력 쟁취와 대중 동원의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학술논문] 북한 지전략(地戰略)의 패턴 분석 및 사례 연구
...<비대칭 동맹>의 부정적 파급효과를 한반도의 지정학적 가치를 담보로 최소화하는 전략이다. <등거리 줄타기외교>와 <자력갱생 자주노선> 두 양태로 표출되어 왔다. 북한의 지전략 선택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이 논문은 ①한국전 남침을 준비하는 김일성 정권의 대소・대중 동맹 포착; ②군사적 자력갱생의 자주노선 추진과 중・소 분쟁 시기 등거리외교; ③탈냉전기 버티기와 핵무장 강행 정책; ④김정은 정권의 러・북 동맹외교 등에 관한 사례 연구를 진행한다. 신냉전의 경쟁 구도 심화는 평양의 지정학적 위기 비즈니스 운영에 유리한 기회의 창을 열어주었다. 한반도의 안정을 유지하고 평화적 통일의 기반 조성을 위해 동맹 강화 및 공약 유기 방지, 현상 국제질서 유지를 선호하는 해양 자유주의 협력 국가들과의 심층...
[학술논문] 최근 북한의 대남노선 전환과 우리의 대응과제
...제9차 전원회의(2023.12)와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0차 회의(2024.1)의 요지는 ①국가 방위력의 급진적 발전 가속화 천명;②인민군에게 전쟁준비 주문;③반제 자주적 나라들과의 관계발전 강조;④‘적대적 교전국 관계’로의 남북관계 규정과 대남정책의 근본적인 방향전환 선언 등이다. 우리가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은 북한의 대남정책의 기본노선의 변화이다. 김정은은 시정연설을 통해 헌법에서 ‘북반부’라는 표현과 ‘자주;평화;민족대단결’의 평화통일 3대 원칙에 대한 표현의 삭제를 촉구한 것은 선대 김일성의 대남 성과까지 부정하는 것으로 대남정책 변화에 대한 확고한 변화의지를 표현한 것으로 평가된다. 향후 우리는 ①북한의 정전체제 유린과 대남 침투도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