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소련영화 수용과 영향 1945~1953
...이유에서이다. 이러한 관점으로 초기 북한영화는 영화사에서 덜 중요한 것으로 취급되고, 특히 북한 국가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던 소련영화의 존재를 지워버린다. 본 연구는 초기 북한국가와 북한영화 형성과정에서 소련영화의 수용과 영향을 당대 신문, 잡지의 담론을 활용한 실증적 접근을 통해 규명한다. 첫째, 북한 인민들의 소련영화 수용을 통해서는 ‘해방군’ 소련에 대한 무한한 감사, 발전과 번영의 소련 이미지를 통한 미래 전망의 상상을 살펴본다. 둘째, 소련의 스탈린주의 문예이론이 북한영화에 끼친 영향을 탐구한 선행연구들에 기반을 두면서도, 실제 북한영화에 끼친 소련영화의 영향이 절대적이지는 않았음을 <내 고향>(1949)에 대한 담론분석을 통해 거론한다. 소련영화의 영향을 부정하기보다는...
[학술논문] 중국의 3전과 한국의 대응 방향
...중국공산당의 통제 하에 인민해방군과 인민무장경찰에 의해 수행되는 중국특색의 비 물리적 전쟁방식으로서, 물리적 전쟁방식과 교묘하게 연계⁃결합되어, 평시에는 적의 마음을 공격하여 중국의 국가이익에 유리한 전략적 환경을 조성하고, 전시에는 무력사용에 의한 전승을 적극 지원하여 저비용-고성과로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중국의‘3전’은 ‘하나의 중국정책’을 구현하기 위해서 처음에는 대만을 대상으로 구상, 적용되었지만, 현재는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의 해양이익을 위해 일본, 베트남, 필리핀 등을 상대로 적용되어 왔으며, 한국에는 THAAD 배치문제에 조직적으로 작동되었다. 하지만, 한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이러한 중국 3전이 인민해방군에 의한 군사작전이라는 것을...
[학술논문] 잊혀진 항쟁: 1946년 10월 항쟁과 냉전기 민중운동사의 궤적
...정립의 문제성에 대해 주목하여 10월 항쟁의 성격과 문학사적 의미를 고찰했다. 해방기 민중은 이념과 선동에 함몰된 존재가 아니라, 새로운 주권국가 건설의 당사자로서 목소리 내기를 주저하지 않는 역사적 존재였다. 특히 식민제국의 붕괴와 동시에 경제적 혼란에 휩싸인 해방기라는 특수한 시대의 문제성은 새로운 ‘점령자’이자 ‘해방군’이었던 미국(소련)과의 관계성 속에서 민중운동의 에너지를 분출-상실하게 만든 조건으로 작용했다. ‘10월 항쟁’은 해방기 민중을 결집하고 민주적인 주권국가 수립의 욕망과 방향성을 재확인하게 만든 분기점으로서, 남북한 문학장의 ‘민중’ 인식과 재현에도 결정적인 엇갈림을 만들었다. 이 글은 대구 출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