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증보판 ≪조선말 대사전≫(2006)의 동족어 부류에 대한 고찰
이 글에서는 북한의 증보판 ≪조선말 대사전≫(2006)에 등재된 ‘동족어’ 부류에 대해 살펴보았다. 동족어 정보는 남한사전의 미시구조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북한사전에서만 사용되는 미시구조적 정보이다. 동족어는 ‘같은 어근을 공통으로 갖고 있는 단어들’이라는 사전적 정의를 가진다. 지금까지 동족어의 개념에 대한 논의나 연구는 있었지만 사전의 미시구조적 정보로서 동족어가 가지는 의의에 대해 연구된 바는 없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동족어에 대한 개념과 더불어 사전의 미시구조적 정보로서의 의의와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증보판 ≪조선말 대사전≫(2006)에 등재된 동족어 목록을 전수조사하여 확인하였다. 그리고 그 특성을 사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제 동족어...
[학술논문] 남북한 이념적 어휘와 이질화 정도 - ≪표준국어대사전≫(웹)과 ≪조선말대사전≫(증보판)(2006)을 중심으로 -
분단 이후 70여 년이 지나는 동안 남북 언어의 이질화에 대한 우려가 있어왔다. 특히, 남북 언어의 이질화는 남북의 언어사회에서 이념적 어휘로 나타났다. 이 논문은 표준국어대사전과 조선말큰사전에서 이념적 어휘를 추출하고 계량적 분석을 통해 이질화 정도를 살피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2장에서는 이념적 어휘의 개념을 정의하였고, 3장에서는 대규모 자료에서 이념적 어휘의 추출 방법을 기술하고 추출된 어휘를 목록화했다. 4장에서는 추출된 어휘의 계량적 분석을 통해 이념적 어휘가 남북 간에 어느 정도 이질화되어 있는지 논의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념적 어휘를 객관적으로 추출하는 방법론을 모색하였고 대규모 자료를 통해 이념화 정도를 분석하였다. 이는 남북한 이질화를 해결하는 데에 기초적인 연구로 통일 이후 언어 교육에도...
[학술논문] 북한어의 비어두 ‘ㄹ’ 발음의 전개 양상 - 규범과 사전을 중심으로 -
...‘어느 위치에서나’ 표기한 대로 발음한다고 하였으나, 『조선말사전』(1962)에서 [ㄴ] 발음을 채택하듯이 비어두의 [ㄹ] 발음은 규범으로서의 지위가 약했다. 즉 60년대 초반까지는 ‘원칙’과 ‘실제’가 모순되는 상황으로 소극적 정책의 시기였다. 「표준발음법」(1966)부터는 비어두에서의 철자식 발음이 전면적으로 시행된다. 다만 이는 현실음의 반영이 아니라 인위적 정책에 따른 것인데 1966년의 문화어 성립이 그 중요한 계기가 된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정책적 맥락은 이후 70년대의 문화어 발음의 이론화를 거쳐 『현대조선말사전』(1981. 2판)부터 『조선말대사전』(1992, 2007, 2017)에 이르기까지 철자식 발음이 일관되게 유지, 강화되는...
[학술논문] 북한 경제 전문용어의 특징과 남북 비교 연구―『조선말대사전』과 『우리말샘』을 중심으로
...남북한 경제 분야 올림말의 특징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북한 『조선말대사전』(2017) 경제 분야 올림말 2,182개를 내용적, 형태적으로 분석하고, 남한의 『우리말샘』어휘와 비교하였다. 2장에서는 경제 체제의 상이성을 고려하여 경제학 범위와 분류 체계를 비교하고, 남북한에 많은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밝혔다. 3장에서는 『조선말대사전』 경제 용어와 『광명백과사전: 경제』 올림말의 공통 어휘를 바탕으로 북한 경제학 분류에 따른 내용적 분포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 『조선말대사전』 경제 용어 2,182개의 어종을 분석해 한자어로만 구성된 어휘가 95.5%에 달한다는 점을 밝혔다. 4장에서는 『조선말대사전』 경제 용어와 『우리말샘』 어휘를 비교하여 ‘남북 대응형’과...
[학술논문] 北韓語 色彩 派生語의 派生 樣相과 意味 分析 – 조선말대사전(2017)의 色彩語를 對象으로–
...색채어의 인식과 표현 방식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궁극적인 연구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최윤(2022)의 후속 연구로서, 본 논문에서는 ‘조선말대사전’에 등재된 색채어를 대상으로 한 자료 분석을 통해, 북한어 색채어의 파생 양상과 접사의 의미 자질을 살펴 보았다. 연구 결과, 색채어류별로 결합하는 접사의 수와 결합 방식에서 차이가 나타나며 각 색체어별로 파생어 상이한 파생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파생 접사별 색채어류에 따른 파생어 수를 확인하여 접사별 파생력을 확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조선말 대사전’의 사전 뜻풀이를 바탕으로 색채어 파생 접사의 의미 자질을 ‘평가 태도([긍정], [부정])’와 ‘색채([명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