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과 북, 재일조선인 중등 교과서의 <흥부전> 수록 양상 및 특징 비교
... 목표는 ‘도덕성’ 구축을 근간으로 하고 있기에 통일의 과정에서 통합 교과서를 집필하는데 이견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남한의 교육관이 다양성을 중시하고 있는 만큼 각 권역의 <흥부전>은 원전 텍스트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용 가능하며, 통일 이후 국어 교과서를 집필하는데 소통 지점의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학술논문] 『조선창극집』(1955) 소재 창극 대본 〈흥보전〉의 특징과 의미
After the Korean War, North Korea controled culture and art more strictly than before, founded on basic construction of socialism. As a traditional opera shared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Changgeuk underwent a lot of changes in North Korea during this period and 『Joseonchanggeukjip』 is a Changgeuk collection which was published in this period. 『Joseonchanggeukjip』 is valuable 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