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항림 소설의 ‘연애모티프’와 상징성 고찰
...검증을 하던 탐색과 회의의 끝에 확인한 이념의 실체는 불분명하게 처리된 채, 갑작스럽게 여성을 향한 남성의, 혹은 남성을 향한 여성의 열정을 확인하는 것으로 결말이 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이념적 열정에 대한 물음이 남녀관계에 대한 열정으로 귀결되는 구조가 갖는 상징성과 문제성을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것을 포함하여 그의 작품 「마권」과 「구구」, 그리고 「부호」와 「농담」의 작품 세계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측면은 대별되고 있는 점에도 주목하였다. 작품마다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니지만, 후자는 전자에 비해 약간의 공백기를 거친 뒤 발표했다는 단순히 창작 시기의 전후 관계 외에도 인물의 내면에 현실에 안주하거나 순응적인 지식인으로서 전락하지 않으려는 열렬한 도덕의식으로 무장되어 있는 점은 주목할...